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나이는 같아도 판정기준에서는 심하면 1-2단계나
차이
가 난다. 피부나이가 10-20년 정도
차이
나는 셈이다. 색소침착의 광노화 판정기준은 0-4까지 5단계로 만들어졌다.판정기준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피부나이를 짐작해볼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또한 피부과학자들은 임상실험에서 새로운 피부노화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쌍안경을 사용하면 더 잘 보일까? 유감스럽게도 그렇진 않다. 맨눈으로 보는 것과 큰
차이
가 없다. 하지만 구경이 크고 배율이 낮은 쌍안경은 확실히 도움이 된다. 두 성운 사이의 암흑성운을 쉽게 느낄 수 있다. 흔히 펠리칸성운이 북아메리카성운에 비해 조금 더 보기 어렵다고 하지만 실제로 보면 ... ...
모나리자 미소의 비밀은 입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고 슬픈 표정에서 기쁜 표정까지 4단계로 평가했다. 그 결과 눈을 조작한 경우에는 별
차이
가 없는 반면 입 모양을 바꾼 사진은 평가가 크게 엇갈렸다. 즉 입끝을 올린 사진은 기쁜 표정으로, 내린 사진은 슬픈 표정으로 인식된 것이다.연구를 이끈 크리스토퍼 타일러 박사는 “우리는 눈을 통해 ... ...
비행기에서 휴대전화 건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통화가 실패하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접속상태는 양호한 편이었다. 음질도 지상통화와
차이
가 없었다. 다만 음성을 데이터 패킷으로 디지털화해 지상으로 전송하는데 따른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음성이 1초 정도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어윈 제이콥스 퀄컴 회장은 “향후 2년간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동위원소를 비핵분열성(非核分裂性) 원소에서 분리 · 농축하는 방법 기체의 확산속도
차이
를 이용해 우라늄 235가 072% 정도 함유된 천연우라늄에서 핵연료로 사용될 농축우라늄을 분리해 함유율(含有率)을 높이는 방법이다 표준 기초대사량과 비교했을 때 개체 기초대사량이 보이는 편차(偏差)를 ... ...
우주여행 즐기며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메탄올은 치명적이다. 몸에서 알코올을 분해해 생기는 1차 산물인 알데히드의 독성에
차이
가 있기 때문이다.에탄올의 분해 후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CH₃CHO)는 계속 분해되는 반면 메탄올의 분해 후 생성되는 포름알데히드(HCHO)는 맹독성을 지녔다. 따라서 실험에서는 독성이 약한 에탄올을 ... ...
문어도 자주 쓰는 '팔'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따라 다른 다리를 사용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그렇다고 8개의 다리가 기능면에서
차이
가 있지는 않다. 단지 낯선 물체를 탐지할 때 인간처럼 유독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팔’ 이 있는 것이다. 또 이런 ‘팔’ 은 주로 문어의 몸 앞쪽에 위치한 다리인 경우가 많았다. 몸 뒤쪽 다리는 주로 이동할 때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추정할 뿐이다. 용어상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잠깐 지진의 ‘규모’ 와 ‘진도’ 의
차이
를 살펴보자.지진의 규모란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알려준다. 리히터 규모의 경우 1이 증가하면 에너지는 30배정도 크다. 따라서 규모 5.2의 지진은 규모 3.0인 지진보다 에너지가 무려 1천배 정도 크다.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수장이 돼 지난 4년간 1021이라는 엄청난 스케일의
차이
, 즉 테라와 나노를 오가며 연구개발을 진두지휘하고 있다.이 박사는 모시로 유명한 충남 서천군 한산면에서 1952년 태어났다. 주변에 금강을 비롯해 수려한 경치가 많아 어린 시절 맘껏 자연을 즐기며 보냈다. ... ...
맹목적 사랑은 뇌의 변화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로맨틱한 사랑을 하는 사람의 뇌에서만 활성화됐다. 로맨틱한 사랑과 모성애의
차이
가 증명된 셈이다.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저널 ‘뉴로이미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