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못한 불용성 인산을 식물에 공급해줄 수 있는 근균(根菌)을 증가시키고 질소고정균의 일
종
인 아조토백터와 공생해 질소고정능력을 더욱 촉진해주는 작용을 한다.유산균군균(群菌)은 광합성세균 효모균 등으로부터 받은 당류 등을 원료로 해 유산을 만들어낸다. 이들 유산은 강한 살균력이 있어서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현재의 컴퓨터 그래픽스 애니메이션이나 시뮬레이션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연구들을 잘
종
합하여 이용한다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쓸모가 있는 식물이다. 일본인들이 2천년간 그렇게 생각해왔듯이. 아시아에서는 칡으로
종
이와 옷을 만들고 가축을 먹이며 토양을 기름지게 하는데 사용되었다. 알라바마주의 어번대학 원예학 명예 교수인 해리 아믈링 박사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이 식물로부터 해열제를 뽑아내기도 한다고 한다.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생물이 방사선 처리에 의해 돌연변이가 일어날 것인지는 전혀 예측할 수 없다. 단지 육
종
학자들은 미리 형질변환의 가능성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는 선발시험(screening) 기술을 개발해 사용함으로써 성공률을 높일 뿐이다.방사선이 어떻게 유전형질을 바꿀까? 생물체의 구조나 기능을 후손에게 ... ...
1. 유전자 이상이나 염색체 숫자·순서 바뀔 때 나타나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유전자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반면 생식세포에 일어난 돌연변이는 그
종
의 장래 유전자 구성에 중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임 연령층의 사람들은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나 방서선 등에 노출되는 것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염색체 돌연변이와 유전자 ... ...
2. 형형색색 바이러스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본 게 처음이다. 그 이래 인간이 본 바이러스는 1천
종
을 넘는다. 현미경안에서 작은 우주를 형성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세계를 소개한다. 헤르페스바이러스가 동물세포에 들어가는 모습① 바이러스 외피가 플라즈마막에 부착된다.② 바이러스 주변에 소포가 형성된다.③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한다면 에이즈는 1979년에 처음 출현한 새로운 바이러스로 여겨지기 쉽다. 그러나 준
종
개념을 이용한 데이터에 의하면 에이즈바이러스는 대단히 오래 전부터 지구상에 있었던 바이러스가 된다. 여기서 이 개념은 에이즈나 백신이 듣지 않는 질병에 대해 치료법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도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검은 색이다. 한
종
(種)에서 많은
종
(種)이 파생된 새다. 부리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종
류가 구분된다.딱따구리 방울새와 홍수림 방울새는 영리해 도구를 사용할 줄 안다. 그들은 먹이인 유충을 찾아낼 때 선인장의 가시를 이용한다.가시가 수 없이 돋아난 선인장은 키가 1m가 넘는 것도 많다.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뿐만 아니라 그들은 고슴도치 분자들 자체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있다. 그것들이 어떤
종
류의 단백질인지, 그것들이 어떻게 배의 세포를 특정한 운명에 적응하도록 하는지는 모두 불분명하다. 고슴도치 단백질들이 이전에 알려진 곳들과 다르다는 것은 유리한 점인 동시에 장애물이기도 하다. ... ...
자지복, 사람 유전자연구에 큰 역할할 듯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4억개의 염기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밝혔다. 블레나 박사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종
을 넘어선 공통의 유전자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전자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연구하기에 유리하다. 더욱이 자지복의 유전자는 의미없는 염기 배열이 아주 적어 연구 대상으로는 매우 적격이다"고 말하면서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