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로 소비자들에게 어떤 경험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은 이제 시작 단계”라고 털어놨다. VR 콘텐츠는 사용자들이 소비하는 방식이 기존 영상과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연애 시뮬레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같은 1인칭 시점을 구현하더라도 기존에는 시야를 감독이 제어했다.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15년부터 삼성페이, 시럽페이 등 여러 핀테크 산업에서 지문 인식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은행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마스터카드는 조만간 지문 인식 장치를 내장한 신용카드를 전 세계에 출시할 계획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시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카드의 오른쪽 상단에는 작은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문적으로 도입한 최초의 통계사이트)를 참고해서 상위 30명을 선정했다. KBO가 처음 시작된 1982년부터 2017년까지 36년간 단 한번이라도 30위 안에 이름을 올린 투수 371명 중 왼손 투수는 102명으로 약 27%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왼손잡이 비율인 10%보다 2.7배 가량 높은 수치다. 2017년에는 특히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 분야다. 인간과 동물의 유전적 특징을 자세하게 밝혀내는 기초과학 연구에서 시작해 생명공학, 의료공학 등 공학 분야와 두루 협력해야 실현이 가능하다. 대학과 병원, 산업계의 협력이 필수다. 인공장기 기술은 향후 사회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특히, 말이나 고양이가 싼 똥을 선호합니다. ‘청소부 동물’로 진화해 똥 먹기 시작개가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는 개의 진화 과정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개들은 이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똥을 먹는 개를 만납니다. 바로 엄마 개입니다. 강아지가 태어나면 엄마 개는 강아지의 생식기와 항문을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습됐다. 가까이서 보니 바깥쪽보다 안쪽이 특히 검게 타 있었다. 불이 안쪽에서 붙기 시작했다는 가슴 아픈 흔적이다. 강 팀장은 “이렇게 지붕의 뒤쪽 구조나 치목(治木), 결구 기법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고 담담하게 설명했다. 보존 과학, 습도 조절이 관건“그런데 여긴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➊,➋). 또 심장 발달 과정에서도 세포 자멸이 일어납니다. 심장은 원래 하나의 튜브에서 시작해 두개의 심방(좌심방, 우심방)과 두개의 심실(좌심실, 우심실)을 만들어 냅니다. 이때 세포 자멸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 완벽하게 따로 떨어진 심방과 심실을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심장 외에도 세포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에피소드의 나열 만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다”며 “눈길을 끄는 대목으로 시작해 논리적으로 내용을 풀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자기소개서를 통해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평가받기 때문이다. 2018학년도부터는 자기소개서에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밑줄이나 굵은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최초로 통신에 성공한 이후 174년 만인 2007년 11월 19일부터 괴팅겐의 밤하늘을 수놓기 시작했어요. 전기 신호 대신 짧고 긴 시각 신호로 정보를 전달하지요. 레이저-전신 발사를 주관하고 있는 괴팅겐의 측정기술 협회 메아주레멘트 팔라이는 홈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레이저-전신을 소개하고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75쪽 고리수와 꼬임수, 비틀림수의 관계 참고)를 만족하기 때문이에요. 줄을 꼬기 시작하면 꼬임수가 증가해요. 줄의 끝을 고정하면 고리수는 절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를 엉키게 만드는 비틀림이 꼬임과 다른 방향으로 많아지는 거예요. 이는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고, 수학적으로도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