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한국
대한극장
극장
코리아
korea
d라이브러리
"
대한
"(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신비로운 프랑스 곤충을 알렸던 것처럼 우리나라의 신기한 곤충을 널리 알리는 최고의
대한
민국 곤충학자들이 많이 등장하길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PART3. 나는 한국의 ... ...
[과학뉴스] 시내 공립고등학교에 망원경이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김서연 학생은 “진로를 우주공학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천문대 덕분에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김 교사는 “별볼일 천문대를 방문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다”면서 “이런 천문대가 지역마다 하나씩만 있어도 우리나라 과학교육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 ...
전통의 색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경제성 못지 않게 문화재의 원형을 되살리는 일도 중요하기 때문에 전통안료에
대한
연구는 필수입니다. 정혜영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사는 “재료와 제조법, 특성을 규명해서 잊혀져 가는 전통안료의 맥을 잇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라며 “현장에서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안료를 선택할 수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이론인 동시에 시간과 공간과 물질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이론의 유력한 후보다. 이때 일반적이라는 말은 모든 것 ... 온 일반상대성이론이 어떤 형태로든 포함될 것이다. 통일이론의 등장은 인류 이성의 위
대한
성취를 보여주는 멋진 역사의 한 장면이 될 것이다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사는 곤충전체를 이야기하는 책은 아직까지 없었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곤충 전반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정 박사의 도전은 무모해보이기도 한다. 그녀는 남들 시선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독특한 필체와 관찰력으로 이 땅에 사는 곤충들의 ... ...
[과학뉴스] ‘잠’ 많이 자도 문제, 적게 자도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교수팀은 6시간 이하로 자거나 10시간 이상 자는 사람은 7~8시간 자는 사람보다 염증에
대한
면역력이 낮다고 ‘의학·생물학의 미량원소 저널’ 10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42~60세 남성 2570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C반응성단백질(CRP) 농도의 관계를 조사했다. CRP는 염증이 생겼을 때 급증하는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파티를 즐기는 학생들의 모습을 지켜보던 최용상 교수는 “WSCI가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동기를 불어넣어줬을 뿐만 아니라, 관광과 파티 등 즐거운 체험까지 하게 해줬다”며 “우리나라의 많은 학생들이 이런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척박한 사막에 꽃 피운 녹색 기술네게브사막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만든 약, 미국 FDA 첫 승인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3D 프린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약물을 설계할 수 있게 됐다”며 “3D 프린팅 약에
대한
미국 FDA의 승인은 의약계에 더 큰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발걸음은 아직 더디다. 김호원 부산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기본적인 보안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사물인터넷 활성화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입체적으로 보인다는 점인데요. 이 점 때문에 상용화가 어려워 보입니다. 여기에
대한
대책이 있으십니까.3D 아아, 물론 있습니다.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기술인데요. 단어 뜻 그대로 사용자의 눈을 따라가는 기술입니다. 먼저 디스플레이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을 인식합니다. 그리고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