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계의 힘을 빌려야 한다. 그런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대부분은 전문가용으로 개발돼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레이놀즈수·마하수 같은 매개변수를 수십 개씩 입력해야 작동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매개변수를 깊이 이해하지 못하면 다루기 힘들다. 반면 에디슨은 매개변수의 기본 값이 예시로 ...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메사추세츠공학대학교 블라디미르 불로비치 교수팀이 개발한 이 태양전지는 지금까지 개발된 태양전지 중 가장 얇고 가볍답니다.기존의 태양전지는 보통 유리 기판 위에 만들기 때문에 무겁고 딱딱했어요. 그래서 실생활에서 이를 다양하게 사용하기가 어려웠지요. 가볍고 부드러운 플라스틱 ... ...
- [가상인터뷰] 단단한 소라 껍데기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가볍고 튼튼한 신소재를 개발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어요.저는 교수님이 신소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 싶어요. 지구 정복은 도와 드리지 못할 것 같네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5년에는 연구진 21명과 함께 논문을 읽고 수학적으로 오류가 없는지 따지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습니다. 그 결과 증명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지요.이제 케플러의 추측을 3차원이 아닌 n차원 문제로 확장해 봅시다. 한 점에서 거리가 1 이하인 점들의 모임을 반지름이 1인 구라고 합시다.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간 유전체와 계산생물학을 연구하는 바룬 아가왈라 박사팀이 확률적 방법을 이용해 개발한 학 모형으로 어떤 종류의 돌연변이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고 발표했던 것이다.뉴클레오티드는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된 염기 중 단 하나만 바뀌어도 ... ...
- [과학뉴스] ‘제2의 피부’로 눈가 주름 걱정 끝?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버드대 의대 공동연구팀이 투명하고 유연한 인공피부를 만들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을 개발해 ‘네이처 머티리얼스’ 5월 9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실리콘과 산소 원자로 이어진 실록산을 젤 형태로 피부에 바른 뒤, 백금촉매가 들어있는 두 번째 젤을 발라 40μm(마이크로미터, 1μm는10-6m) 두께의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응용한 지는 이미 10년 이상 됐고요, 그 외 특수한 목적에 맞는 미생물연료전지를 개발하는 중입니다. 오줌으로 전기를 만드는 양말요? 응용 분야를 잘 찾은 경우라고 볼 수 있겠네요.”물고기 순환계 모방한 웨어러블 발전소오줌 미생물연료전지 프로젝트를 성공한 뒤, 평소 웨어러블 기술에 관심이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카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다. 염기서열은 1만 개 정도로, 1만8000개인 에볼라보다 짧다. 염기서열은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 같이 형태를 구 ... 하게끔 한다는 것이 유력한 가설이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 브라질 정부는 올해 안에 백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갈 길이 멀다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는데, 라온이 생기면 국내에서 평가를 할 수 있다.암을 치료할 차세대 방사선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도 중이온가속기의 중요한 활용처다. 현재 부산 기장에 중이온가속기와 유사한 중입자가속기가 건설 중인데, 이 장치는 이미 임상에서 환자 치료에 쓰이는 탄소 동위원소를 생성한다.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희망은, 20세기 초 빠르게 발달하기 시작한 기계·전자 기술에 힘입어 인간과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인간은 만들지 못했다.100년이 흐른 지금, 기술의 발달은 다시금 본래의 욕망을 향한다. 생명공학, 로봇공학, 인공지능, IT 등이 융합하면서 기계의 인간화가 아닌,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