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무대 커튼 앞으로 해설자가 조명을 받으며 등장한다.)해설자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극단 ‘스템셀’을 찾아주셔서 ...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래도 불과 몇 년 사이 줄기세포 덕분에 난치병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
이 제시되고 있는 건 분명 희망의 메시지다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일종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하지만 맥스웰의 추종자들은 이 전자기적 요동의 검출
가능성
만 알았을 뿐 그 누구도 실제로 전자기파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장담하지 못했다.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한 사람이 독일의 헤르츠였다.헤르츠는 대륙에서 교육받았기 때문에 영국의 장 개념에 ... ...
타이탄의 차가운 메탄 화산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액체 표면으로 추측되는 특징은 전혀 발견되지 않아 메탄의 바다나 호수가 존재할
가능성
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카시니호가 탐사하기 전에는 타이탄에 액체 메탄의 바다가 있다고 추정됐다. 타이탄의 대기에 존재하는 메탄은 1000만년 안에 분해되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메탄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부산을 비롯해 충청남도 서산일대와 경상북도 문경, 전라북도 일부 지역도 여전히 발굴
가능성
높은 공룡 연구지로 지목되고 있다. 우항리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에서 불과 20여m 떨어진 암반 위엔 또 다른 크고 작은 발자국들이 이리저리 찍혀있다. 익룡 앞뒤발자국 흔적인 이들 화석은 당시 이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있다. 그렇다면 티라노사우루스 렉스도 깃털로 덮혀 있었을까? 최소한 새끼 때는 그럴
가능성
이 높다. 공룡이 깃털을 발달시킨 첫 목적은 하늘을 날기 위한 것이 아니라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육식공룡은 변온동물이 아니라 항온동물이라는 주장이 많다). 몸 크기가 작은 새끼 티렉스는 얇은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완벽한 머리뼈 화석이 나오자 연구자들은 한반도에서도 온전한 형태의 뼈 화석이 출토될
가능성
에 기대를 걸고 있다.예부터 십장생으로 불리던 거북도 공룡이 처음 등장한 트라이아스기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가장 오래된 최초의 거북은 프로가노켈리스. 원시적인 모습을 했던 거북의 조상은 ... ...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06 지하에서 핵폭발이 일어나면 허물어진 암반 사이로 지하수를 타고 방사능이 유출될
가능성
이 있다.07 우라늄 연료봉이 원자로에서 연소된다.08 사용후 핵연료봉을 제거해 냉각수조에 보관한다.09 질산을 이용한 용매추출법으로 플루토늄을 분리·정제한다.10 추출된 농축 플루토늄(Pu-239)은 핵무기에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진동이 가장 분명할 때는 역시 겨울이다. 겨울철 한파는 극진동이 음의 상태일 때 강해질
가능성
이 높다. 북극 진동이 음의 상태면 북극 지역의 차가운 공기가 기압이 높은 내륙 쪽으로 흘러가 겨울철 시베리아 고기압이 깊게 발달한다. 동아시아지역에서 상층 편서풍의 흐름도 강해진다. 이는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 국제지침에 따르면 연구에 참여하는 여성은 연구책임자로부터 압력을 받을
가능성
이 있기 때문에 난자를 제공해서는 안된다.여성에게서 난자를 채취하려면 호르몬제를 먹여 과배란을 유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복통 등의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는 점 또한 윤리문제를 낳는다. 황 교수팀은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예측과 설명을 해냈다는 것 외에 앞으로의 뇌 연구에 다른 많은
가능성
을 제시해준다. 보통 단백질이나 세포 수준의 연구는 좀더 거시적인 수준에서 일어나는 뇌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에는 너무나 원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뇌 연구 모형은 실제 뉴런의 기본적인 성질을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