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뉴스
"
지형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최고(最古) 소행성 충돌구는 호주 '야라부바'
연합뉴스
l
2020.01.22
중부의 샌드스톤과 메카타라 사이에 있는 야라부바 충돌구는 충돌 충격으로 형성된
지형
이라는 점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언제 이런 충돌이 발생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지구에서는 침식과 지각 변동으로 아주 오래된 충돌구는 원형을 확인하기 어렵다. 호주와 아프리카 등지에서 ... ...
달 뒷면 착륙1년 맞은 '옥토끼'…"지금도 탐사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카메라, 레이더 측정장치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가지고 지난 1년동안 달 뒷면의
지형
을 측정하고 토양과 광물을 분석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지난해 5월에 그 첫 성과가 발표됐다. 리춘라이 중국과학원(CAS) 연구원 연구팀은 옥토끼 2호의 광학 및 근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한 탐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전 동해가 열릴 때 만들어진 화산이며 지금의 백두산 천지처럼 분화구에 물이 고인 호수
지형
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1만9000년 전에 마그마가 올라와 분화구의 호수 물과 닿아 막대한 양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며 맹렬히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드러났다. 1만 년 전 이후에도 세 번의 추가 폭발이 ... ...
달에 '거미'를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우주 시장에 회의적인 일부 시각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탐사로봇으로 수집한 달 표면
지형
데이터를 판매하고, 이후 달 탐사가 본격화되면 탐사 로봇과 기술을 판매할 계획”이라며 “비즈니스 모델은 확고하다”고 말했다. 2021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상업달탑재체서비스(CLPS) 임무를 통해 ... ...
"생각을 과학적으로 발전시키는 인재 사회 근간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미래인재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과기정통부 제공. 미래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2019 미래 ... 과학기술 선도국가로 거듭날 수 있다”며 “우리 젊은 과학자의 호기심이 세계 산업의
지형
을 바꾸는 데 기여하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신기술 실용화' 촉진…전력선 없는 산악트램 기술에 산업훈장
연합뉴스
l
2019.12.13
'2019 신기술 실용화 촉진대회'를 13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서울호텔에서 열었다.
지형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배터리 동력으로 급곡선·급경사를 주행할 수 있는 도로 겸용 무가선(無架線, Wireless) 산악트램 시스템과 궤도 기술을 개발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서승일 수석연구원이 산업훈장을 받았다.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
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빙하와 인근 남극바다를 탐사한다. 이원상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장은 “정밀해진
지형
도를 활용해 해수면 상승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 중”이라며 “국내외 연안 침수 피해예방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줄무늬' 정체는 얼음 분출 균열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사실을 밝혔다(위 그림). 그 결과 약 35km 간격을 두고 나란히 길게 그려진 호피무늬
지형
이 탄행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헤밍웨이 연구원은 “이 독특한 구조의 형성 과정을 설명해 줄 물리적 효과를 밝힌 연구”라고 말했다 ... ...
[기자의 눈] 해무는 '빨리' 달리고 싶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당시에도 한국에 활용할 수 있냐는 회의론이 있었다. 산악이 많아 곡선 주로가 많은 한국
지형
의 특성상 해무가 제 속도를 낼 수 있는 구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여기엔 정치 논리에 따라 이곳저곳을 거치느라 구불구불 깔린 선로도 한몫했다. 철로를 자갈로 채워 넣은 곳은 400㎞ 이상 속도로 달리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사건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빠져나가게 되며 칼데라가 아래로 꺼지게 된다. 칼데라는 화산보다 나중에 만들어진
지형
이라 칼데라 주변을 둥그렇게 감싼 환상 단층으로 구분되는데, 이 단층이 칼데라 위 땅이 아래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해준다. 그 사이 마그마도 확장된 열곡대를 따라 움직이며 큰 배관을 만들어낸다. 마그마는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