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성
성찰
내성
내관
뉴스
"
자기관찰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조류 모두 감염…'악질' 독감 잡는 백신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H3N2 바이러스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요시히로 카와오카 제공 사람과 조류를 모두 감염시킬 수 있는 '악질' 독감을 막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요시히로 카와오카 미국 메디슨-위스콘신대 병리생물학과 교수팀은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하나인 H3N2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 ...
시각장애인도 뇌 시각 영역 활용해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시각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더 민감한 청각으로 주변 사물을 판별하기도 한다. 워싱턴대 제공 선천적으로 시각 장애를 안고 태어났거나 어릴 때 사고로 시력을 잃은 사람 가운데는 뛰어난 음악가나 놀라운 절대음감을 가진 이들이 있다. 시각 장애인 중에는 물체의 미세한 움직임을 소리만 듣고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권익찬 KIST 테라그노시스연구단 책임연구원(왼쪽) 이 '절친' 동료연구자인 최귀원 바이오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오른쪽)과 서 있다. 권익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지난해까지 5년 연속으로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 ... ...
내 머릿속에 짧은 순간의 리듬·박자 변화 인지하는 '시간지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빠른 비트의 음악 리듬처럼 1초 안팎의 짧은 시간 차를 인지하는 뇌 영역이 발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쿵쿵 쿵쿠쿵 쿠쿵쿵'. 빠른 비트의 음악에서 미세하게 다른 박자와 리듬을 인지하거나, 신호등 파란불이 깜빡거리다가 언제 빨간불로 변할지 예상하는 등 우리 뇌는 어떻게 짧은 시간동안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2017년 캐나다 코미디언 마이키 버스토스가 ‘상어 가족’을 패러디해 만든 뮤직비디오. 남녀노소 패러디할만큼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1월 둘째주에는 유럽의 전래동요 '아기상어'를 핑크퐁이 재해석해 빌보드 차트 핫 100위에에 진입했다. 지난 1월 한국의 동요 ‘상어 가족’이 미국 대중 ... ...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소행성탐사선 ‘하야부사2’로 관측한 소행성 ‘류구’의 첫 번째 데이터를 분석해 20일 공개했다. 사진은 류구를 색을 혀실과 다르게 입혀 찍은 영상이다. 실제의 류구는 어두운 빛을 띤다. 사진 제공 도쿄대 미국과 일본이 주도한 소행성 탐사 임무 두 개가 20일 ... ...
자기장으로 세포 집는 핀셋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캐나다와 중국 공동 연구팀은 세포핵의 유연성과 강도를 실험할 수 있는 자기장 핀셋(미세 자석구슬)을 개발했다. 연구팀 제공 캐나다 토론토대 기계및산업공학과와 중국과학원 공동 연구팀이 자기장을 이용해 세포를 집거나 측정, 조작할 수 있는 ‘자기장 핀셋’을 개발했다. 암이나 심근경색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과학동아 3월호) 칠레에 설치된 전파망원경 알마(ALMA).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 ... ...
[두통인구 100만 시대]⑤ 진통제로부터 해방(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페인 매니지먼트 제공 두통을 자주 앓는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진통제를 복용하다가 만성 두통이 생길 위험이 있다. 냉찜질이나 스트레칭, 산책, 낮잠 등 '약 없이 두통을 없애는 노하우'만 사용하기엔 약물처럼 통증이 빨리 없애지는 못한다. 진통제를 먹지 않고도 두통을 '빨리' 멈출 수 있는 방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소확행'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2019.03.09
'마시멜로 실험'은 1960년 연구진이 3~5세 아이의 자기통제력과 절제성을 관찰해 이를 미래의 성공과 연결짓는 유명한 실험 중 하나다.픽사베이 제공 아이들에게 맛있어 보이는 마시멜로를 눈 앞에 두고 지금 바로 먹어도 되지만 10분 정도 기다리면 마시멜로를 하나 더 주겠다고 한다. 그러면 못 참고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