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뉴스
"
실마리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컴퓨터 단점 극복 ‘위상 양자컴퓨터’ 구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이길호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원래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이지만 위상이 다른 두 물질의 경계에서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위상부도체라고 한다. 이런 특성으로 위상부도체는 양자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고차원 위상부도체는 지금까지 이론적으로 존 ... ...
뇌졸중 후유증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이창준(왼쪽)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과 김형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뇌졸중 후유증을 유발하는 ‘기능해리’의 발생 메커니즘을 밝혔다. 기능해리는 뇌졸중이 발생한 뇌 부위 뿐 아니라 멀리 있는 다른 부위에도 기능적 변이를 일으키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미국 존스홉킨스병원 연구진이 특정 빛에 활성화하는 크리스퍼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존스홉킨스대 제공.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DNA)에서 돌연변이 염기 ... 밝혀지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는 인간 체세포 전반에서 유전자 교정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마리
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현상이라 검증에만 9개월이 걸렸다. 다른 연구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 결과를 내며
실마리
가 풀렸다. 권대웅 인하대 전기공학과 교수와 사이이프 살라후딘 미국 버클리대 전자공학 및 컴퓨터과학부 교수팀은 지난 4월 산화하프늄 두께를 1nm까지 줄여도 강유전체 성질을 갖는다는 연구결과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 한번에 쥐의 파킨슨 병 완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7
치료제가 거의 듣지 않는 불치병인데 한 번의 치료법 만으로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
가 잡혔다. 푸시앙동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세포 및 분자의학부 교수 연구팀은 세포의 단백질 하나만 조절해도 뉴런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파킨슨병에 걸린 쥐를 치료하는 데도 ... ...
불치의 루게릭병, 변이 유전자서 치료
실마리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6.11
UBQLN2 유전자 돌연변이→ 노폐물 용기 산성화 펌프 고장 메릴랜드 의대 연구진, 미 국립과학원회보에 논문 UBQLN2 유전자가 정상인 왼쪽 세포의 적색 점들은 쓰레기 제거 경로가 잘 작동한다는 걸 보여준다. 돌연변이가 생긴 오른쪽 세포에선 적색 점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일반인에게 '루게 ... ...
4억2천만년전 가장 오래된 벌레 화석 스코틀랜드서 발견
연합뉴스
l
2020.06.09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이번 발견을 통해 곤충과 식물의 진화 과정과 관련해 새로운
실마리
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호숫가에서 군집 생활을 하던 이 벌레가 불과 4천년 만에 복합적인 산림 생태계로 서식지를 옮긴 것으로 추정돼서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진화 속도에 비해 훨씬 빠른 ... ...
3500년전 이역만리 우물서 숨진 고대인 진짜 고향 게놈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까다로워 극소수 연구팀만 현재 시도하고 있다. 중국과학원 제공 게놈으로 역사의
실마리
를 푸는 연구는 때론 거대한 역사에서 무시되던 개인사까지 파고들기도 한다.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팀은 500년 전 멕시코에 도착한 첫 아프리카 노예 유골 세 구를 분석한 결과 생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을 때 주변으로 ‘시야’를 넓혀 촉각과 청각 연구결과에서
실마리
를 찾은 연구자들의 발상이 더욱 돋보이는 이유다.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코로나19 진짜 시작을 알고 싶어" 과학자들 지금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공포가 어떻게 시작됐는지 아는 것은 코로나19 이후에 닥칠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데 핵심
실마리
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호주 멜버른의 모나시대학 미생물학과장인 스티븐 터너 교수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익히 알려진 것처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가장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