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향하는 구조를 시도했다. 그렇다고 모든 문제가 순식간에 해결되지는 않았다. 염기가
바깥
을 향할 때에는 자유도가 많았지만 안쪽을 향하면 네 개의 염기들이 어떻게 얽히고설켜 두 개의 뒤틀린 뼈대를 붙들어두는가 하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뼈대가 중심에 있는 모형에서는 각 ... ...
5일만에 설치 해체 가능한 KAIST 이동형 음압병동 가보니
2021.01.07
올라가 있는 형태다. 음압기가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해 음압을 유지하고 양압기는
바깥
공기를 텐트 내 천장에서 아래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쌓아올려진 음압장치는 병동 기둥의 역할도 함께 한다. 기도삽관을 시연하는 모습.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전실과 병실을 가르는 ... ...
뒷마당에 나타난 상어
팝뉴스
l
2021.01.03
상어가 보였다면서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을 보면 사실인 것 같다. 뒷마당 펜스 바로
바깥
에 상어가 헤엄치고 있는 게 보인다. 사진은 호주 골드 코스트에서 촬영되었다. 홍수가 나서 물이 밀려왔는데 상어 한 마리도 민가쪽으로 헤엄쳐들어왔던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평행한 ‘종파’ 형태였는데, 태양권계면
바깥
으로 멀어지면서 파동의 이동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횡파’로 바뀌었다”며 “이 차이가 태양권과 성간 공간을 구분하는 특징이라 추측하고 있지만 보이저 탐사선이 태양권계면에서 수십 ... ...
'과학 한국' 이들이 있어 지금이 있다…한국을 빛낸 ‘1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8
말했다. 김 전 장관은 “과학기술은 국가 사회 발전의 기반”이라며 “실험실
바깥
에서 머문 내게 평생 신명나게 일할 기회가 주어진 데 대해 항상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고(故)김용관 | 일제강점기 과학운동…‘과학데이’도 제정 고(故) 김용관 과학지식보급회 전무이사. 김용관 ... ...
따뜻해진 북극 바다, 바다 속 소용돌이 강해진다
2020.12.17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소용돌이가 치면 소용돌이 안쪽의 바닷물과
바깥
쪽 바닷물이 밀도와 염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면서 환경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마셜 교수는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미래 북극의 환경은 갈수록 불안정해질 것”이라며 “생태계에서부터 ... ...
세포를 조립해 성인 남성 미니 방광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개발된 미니장기는 그 구조를 정확하게 모사하지 못했다. 상피세포와 주변 기질층,
바깥
의 근육세포 등이 제외된 재현에 그쳤다. 연구팀은 정확한 구조 모사를 위해 장기 내 세포 하나하나를 모사하는 방법을 착안했다. 신 교수는 “우리 장 기내 다종의 세포가 있다”며 “다종의 세포들을 따로 ... ...
[과학자의 언어,대중의 언어]①모두가 쉽게 이해하는 전문용어를 위하여
2020.12.16
행사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과거에는 전문용어가 전문가집단에 갇혀 있었다면 지금은
바깥
으로 나와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쓰인다. 그러나 대부분 외국어라서 국민에게는 낯설다. 그런데 과학기술이나 경제와 관련한 낯선 용어를 일반 국민에게 처음 알리는 쪽은 대부분 정부 부처이다. ... ...
"장수풍뎅이 날개 원리규명…충돌해도 추락않는 비행로봇 개발"
연합뉴스
l
2020.12.06
비행 시험한 결과 접힘부 안쪽 날개가 장애물과 충돌하면 자세를 잃고 추락하지만,
바깥
쪽 날개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자세에 큰 변동 없이 비행을 지속했다. 박훈철 교수는 "장수풍뎅이 모방 날개를 장착하면 날갯짓 비행로봇이 장애물에 부딪혀도 비행을 지속,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 ...
하늘 위 실험실 성층권 풍선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방출 속도를 동시에 관측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코로나는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
층을 구성하고 있는 엷은 가스층으로 온도는 100만~500만도에 이른다. 태양 표면 온도인 6000도 보다 월등히 높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아 과학계의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런 미스터리를 푸는 데 관측정보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