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0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암센터 직원 피폭량 기준 미만…과태료 700만원 부과 예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6시 50분에 피폭자와 면담, 17시에 가속기 로그를 확인했다. 원안위는 사고 발생 4시간 30분
뒤
인 17시 21분에 구두로 피폭 사고를 보고받았다. 원자력의학원 검사와 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선량평가를 종합한 결과 피폭자가 노출된 유효선량은 10mSv(밀리시버트, 방사선량 단위)로 법정 선량한도인 5 ... ...
위스키 감별 AI, 전문가보다 냄새 식별 잘해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커뮤니케이션 케미스트리'에 공개했다. 위스키는 보리나 밀 등 곡물을 발효하고 증류한
뒤
오크통 등에서 숙성해 만든 증류주다. 재료와 제조 방식, 숙성 기간 등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진다. 위스키의 향미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참여하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전문가끼리 의견 차이가 ... ...
국민 82% 의대 증원 '찬성'…의료계 "서남의대 교훈 삼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8일 서울아산병원에서 의대 증원 반대 피켓 시위가 끝난
뒤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민 10명 중 8명은 의대 증원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은 공공의대가 의료사각 지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믿었다. 18일 의료계는 의대 모집 정지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 ...
[사이언스영상] 새 화성 헬리콥터'초퍼' 공개
SEIZE
l
2024.12.19
날개 중 하나가 지면에 부딪히면서 영영 날 수 없게 됐다. 초퍼는 인저뉴어티의
뒤
를 이을 차세대 화성 헬리콥터다. 인저뉴어티보다 20배 정도 더 무겁고, 5kg 정도의 실험 장비를 싣고 최대 3km 날 수 있다. 최대 704m 날 수 있었던 인저뉴어티보다 3배 이상 멀리 나는 셈이다. 하지만 아직 초퍼는 ... ...
노벨상 수상자와 협업한 포스텍, AI 유전자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바이러스는 둥근 공 모양 단백질 껍질 안에 유전자가 있는 구조로 숙주세포에 침투한
뒤
복제하며 증식한다. 최근 바이러스의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를 모방한 인공 단백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나노케이지(nanocage)'가 주목받고 있다. 바이러스가 숙주를 찾아 공격하듯 표적 세포에 치료용 유전자를 ... ...
면역세포 공격 피하게 돕는 '암세포 조력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추가하는 유전자 변형을 가해 특정 암세포를 타깃 삼아 공격할 수 있는 CAR-T세포를 만든
뒤
환자의 몸에 주입해 치료 효과를 내는 면역요법이다. 일부 영리한 암세포는 사멸을 피하기 위해 숨는 방법을 학습했다. 연구팀은 ‘YTHDF2’라는 단백질이 혈액암 환자에서 암세포가 사멸을 피할 수 ... ...
[사이언스영상] 내년 생산 테슬라 로봇 '옵티머스'
SEIZE
l
2024.12.17
않은 표면도 잘 걷는다는 뜻이다. 테슬라는 2021년 처음으로 옵티머스 로봇을 공개한
뒤
꾸준히 업데이트 해왔다. 머스크 CEO는 "옵티머스를 2025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해 테슬라 공장에서 1000대 이상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씨즈영상 자세히보기 https://www ... ...
네이처 선정 올해 최고 과학 이미지…폭우에 떠밀리는 치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조직을 이식한 모습을 담고 있다. 신장을 이식 받은 태아 쥐는 이식 수술을 받은 지 22일
뒤
에 정삭적으로 태어났다. 이식받은 조직은 신장의 일부 기능을 갖고 있는 장기로 성장했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의 목표는 치명적인 신장 발달 장애가 있는 인간 태아에 돼지 장기를 이식해 치료하는 것이라고 ... ...
수컷쥐 정자 질주 비결, '갈고리' 머리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이들의 이동 속도가 개별 정자에 비해 빠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기차 가설을 완전히
뒤
집기 위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동연구팀은 획득한 영상을 통해 정자의 이동 속도와 이동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확보해 정교한 ... ...
서울대, 손바닥 저장 전략 구현한 로봇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방식에 착안해 그리퍼를 개발했다. 사람은 한 번에 여러 물체를 잡아 손바닥에 담아놓은
뒤
에 원하는 위치에 옮길 수 있다. 이때 물체를 손가락으로 집어 손바닥에 옮기고 다시 손가락으로 손바닥에 있던 물체를 집어 손가락 끝으로 옮기는 동작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이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