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내부에너지
"(으)로 총 986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2) 한국에도 스페이스X보다 먼저 민간발사체 꿈꾼 기업이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에서 누리호가 엔진 연소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시험설비의 벽면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현대로템의 로고가 선명하게 보인다. 현대로템 제공 1993년 10월 경기 용인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 마북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소(현 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현대화학의 시조, 반핵 운동가 라이너스 폴링
2022.04.14
서로 다른 두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마리와 폴링뿐이다. 특히 노벨상 역사상 단독으로 2번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은 폴링이 유일하다. 위키피디아 제공 20세기 과학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양자역학이다. 양자역학의 확률론적 세계관은 고전역학의 결정론적 세계관을 대체했으며 원자보다 ... ...
'지름 136km' 역대 가장 큰 혜성 태양계로 접근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태양으로부터 32억 km 떨어진 태양계 가장자리에서 시속 3만5405km로 날아오는 혜성 ‘C/2014 UN271’을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찰한 모습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지름이 136km에 달해 지금까지 관측된 혜성 중 가장 큰 초대형 혜성이 태양계로 다가오는 것으로 관측됐다. 데이비드 주윗 미국 로스 ... ...
[탄소중립 연속기고]이산화탄소 증가, 바다도 몸살 앓는다
2022.04.10
한승희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 약 45억년 전에 탄생한 지구는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금의 모습으로 변화해오면서 대기는 기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온실 기체의 장파복사흡수 효과를 무시한다면 지구 표면의 온도는 영하 18도 정도로 계 ... ...
[프리미엄 리포트] 암흑물질을 찾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04.09
NASA제공 검고 무한한 우주를 보고 있자면 무엇인가 불쑥 튀어나올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미국 스탠퍼드선형가속기센터(SLAC)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타낸 우주의 모습은 이 느낌이 그저 ‘기분 탓’은 아니었음을 보여 준다. 가냘프게 빛나는 노란 점은 광활한 우주 속에서 우리가 ... ...
국내 연구진 전류 흐름 분석하는 새 이론 확립해 반도체 결함 문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김용훈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그래핀 기반 2차원 터널링 트랜지스터의 양자역학적 제1원리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반도체 내 원자 결함에 의해 다양한 비선형적 소자 특성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양자역학에 기반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2차원(평면) ... ...
폐기물 도시광산에서 금 99.9% 회수하는 소재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왼쪽부터 금 함유 폐액, KIST 연구진이 친환경으로 금을 회수할 수 있게 개발한 원형 고분자 껍질(흰색)로 감싸진 캡슐형 소재, 회수 공정을 통해 추출된 금, 고순도 금으로 정련된 회수된 금. K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폐기물에 있는 금을 99.9%로 효율로 회수하는 소재를 개발했다, 자동차나 석유화학 ... ...
"기온 1.5도 억제하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 43% 감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지난 11월 13일 세계 약 200개국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막을 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석탄발전 단계적 감축 등을 포함해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대책인 '글래스고 기후 조약'에 합의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제공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지구 대기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 ...
"원자력계, 사실 정확히 알리는 노력 부족했다"...尹 당선자 원전정책 설계자의 일갈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가 29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국민들에게 원자력에 관한 사실을 제대로 알리는 노력을 게을리 한 것도 최근 몇년간 탈원전 정책이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라고 봅니다. 교수들을 포 ... ...
[과기원은 지금] GIST, 대량 생산 가능한 소형 분광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31
이홍노 교수(왼쪽)와 김철순 연구원.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홍노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피부 상태 자가 진단, 실시간 물질 탐지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분광기의 해상도를 높이고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기존 필터 배열 방식 분광기의 저해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