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구
신체
체격
뼈대
뉴스
"
골격
"(으)로 총 552건 검색되었습니다.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슈트’를 개발했다. 사이배슬론 대회에서는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들이 사용할 외
골격
로봇으로 경쟁하지만 실제로는 하반신 부분마비 장애인들이 훨씬 많다는 현실을 감안한 노력이다. 공 교수는 “많은 사람들에게 기술의 혜택을 주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 이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 ...
우주여행 시대 코앞··· 우주멀미, 방사선 영향 등 집중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연구결과를 지난해 1월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김 부소장은 “고중력으로 인해 세포
골격
구조가 바뀌면서 세포 내로 약물이 더 잘 침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지구보다 중력이 10배 큰 10G에서는 오히려 천식 증상이 심해졌다”며 “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만이 긍정적인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기술력을 자랑한다. 대표 기술 가운데 하나인 ‘공간 터치감 지원 핸드 모션캡쳐 외
골격
장치’는 협동에 중요한 기관인 손 동작을 읽어 가상공간에 재현해 주는 기술이다. 엄지와 검지, 중지 등 손가락 세 개의 손 끝 위치와 관절각을 실시간으로 읽는데, 이를 통해 재현하는 동작의 정확성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것이다. 남성호르몬은 뼈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남성이 여성보다 대체로
골격
이 큰 이유다. 따라서 약지가 검지보다 성장 촉진 효과가 더 크다는 건 약지의 뼈가 남성호르몬에 더 민감한 결과일지 모른다. 아마도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밀도가 더 높지 않을까. 그럼에도 아직 정확한 ... ...
금속 유기체에 수소, 이산화탄소 저장 과정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및 흡착 분자의 종류가 흡착 거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어떤 구조의 금속유기
골격
체가 저장 소재로 가장 적합한지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놨다. 강 교수는 “분자의 실시간 흡착 거동을 물질 전체가 아닌 물질을 구성하는 세부 기공 수준에서 이해함으로써 새 고용량 저장 물질을 ... ...
인공광합성 일어나는 '찰나의 순간' 세계 최초로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광촉매 소재로 주목받는 것이 인공광합성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
체(COF)다. COF는 원자들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구조체로 표면적이 넓은 필름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백진욱 한국화학연구원 이산화탄소에너지벡터연구센터장 연구팀은 태양빛을 받은 ... ...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흡수 장애를 조절해 골다공증을 막는 치료타켓을 발굴했다고 28일 밝혔다. 뼈는 사람의
골격
을 이루는 가장 단단한 조직 중 하나다. 노화나 여러 질환 및 약물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되는 질환인 골다공증이 발생한다. 골다공증에 따른 골절이 발생하면 이후 재골절의 위험이 2~1 ... ...
[의학게시판] 내달 1일 2019 가톨릭혈액병원 심포지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26
의료로봇 신 시장 창출 기반을 할 예정이다. 올 9월에는 보행재활로봇인 ‘모닝워크'와 외
골격
제어형 보행재활로봇인 ‘엑소워크 프로’를 1대씩 도입할 예정이다. ■ 나흥식 고려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가 강의 '생물학적 인간' 강의 내용을 엮어 저서 '왓 엠 아이(What am I)?'를 펴냈다. 이 책은 ... ...
국내 연구진, 자연계에 없는 ‘메타물질’ 특성 갖는 금속유기물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5.12
UNIST)은 최원영 자연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음성 푸아송 비를 갖는 ‘금속-유기
골격
체(Metal-Organic Framework, MOF)’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충격파 흡수 재료나 센서, 인공 근육 등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1 ... ...
선천성 근육질환에도 유전자치료 가능성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연구에 참여했다. 이들은 효소를 합성하는 MTM1 유전자 결핍으로 MTM이 발병한 사례다.
골격
근이 성장하고 제 역할을 하려면 근육세포를 만드는 데 필요한 효소가 없어 대다수가 스스로 숨을 쉬거나 움직이지 못했다. 유전자 치료 임상연구는 9개월에서 6세 사이 MTM 환자들에게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