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례
관습
인습
전승
고전
세습
전통의례
어린이과학동아
"
전통
"(으)로 총 431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날리기 좋은 날씨입니다 연도 날리고
전통
연보존회에서 날린 연도 구경하구요
탐사기록
l
20150328
연날리기 좋은 날씨입니다 연도 날리고
전통
연보존회에서 날린 연도 구경하구요 ...
전통
건축의 숨겨진 매력
전통
건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기사
l
20150328
기품을 뽐내는 기와, 그리고 아름다운 꽃담. 이 것들이
전통
건물을 더욱 빛이나게 해주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번
전통
건물을 꾸며주는 것을 자세히 살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우리 함께 '
전통
꾸밈' 의 아름다움에 빠져 볼까요? 경기 부천시 부천석천초 6 강혜수 *사진은 경주 불국사 ...
(
전통
건축) 절 에 기와로
전통
일본성 인데 이것도 될까요?
포스팅
l
20150326
(
전통
건축) 절 에 기와로
전통
일본성 인데 이것도 될까요? ...
천진난만 소녀캐릭터 '뿌까' 제작자와의 인터뷰! 김부경대표와의 인터뷰 입니다!
기사
l
20150306
인터뷰질문 1: 뿌까는 중국의
전통
옷 치파오를 입고 있어서 중국 캐릭터인줄 알았어요. 대표님께서 한국인인데도 불구하고 중국의
전통
옷 치파오를 입힌 이유가 무엇인가요?대답 1: 원래는 중국 아이를 만들려고 했던 것은 아니고, 동양적인 느낌을 담으려고 했는데, 사람들의 시선이 그렇게 바라보다 보니 그렇게 오해 받게 되었어요. 질문 2 ...
우리나라 설날과 우즈베키스탄 나브루즈
기사
l
20150302
잡아주고 나무가 건강하게 자란다. 우리나라 설날과 우즈베키스탄의 나브루즈에 대해서 배워 보는 시간을 마치고, 우즈베키스탄의
전통
의상을 입어보고 악기도 연주해 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우리나라 설날도 중요한 행사처럼 우즈베키스탄의 설날인 나브루즈에도 여러가지 다채로운 행사들이 많다는 것을 새 ...
나는 조선의 왕이로소이다! -국립전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나는 조선의 왕이로소이다!'을 소개합니다.-
기사
l
20150221
어린이 박물관‘나는 조선의 왕이로소이다’가 개관을 하였다. 이 전시관을 신설한 이유는 어린이들이 우리 역사와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박물관을 즐거운 문화 공간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어린이 박물관의 주제는 나는 ‘조선의 왕이로소이다‘이다. 그 이유는 조선왕조의 얼이 살아있는 왕들의 본향(조상들의 고향)인 전주이 ...
설날을 맞이하여 만들아본
전통
무늬 손가방이에요! 종이라서 찢어지기 쉬울까봐 장식으로 쓰려고
포스팅
l
20150220
설날을 맞이하여 만들아본
전통
무늬 손가방이에요! 종이라서 찢어지기 쉬울까봐 장식으로 쓰려고요~ 직접 그리진 않았고, 매직과 싸인펜으로 꼼꼼히 꾸몄답니다~ ...
대한민국에 대한 궁금한 이야기 -다섯가지 궁금한 이야기
기사
l
20150218
모두가 사랑하는 꽃이 나라꽃이 된 경우로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일이라고 합니다.그만큼 우리 무궁화는 국민 전체의 꽃이며 민주적인
전통
을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국민들의 마음에 겨레의 꽃으로 자리잡은 무궁화는 1949년에 이르러 정식으로 대한민국의 꽃이 되었습니다.둘째, 대한민국 축구 응원단은 왜 붉은 악마라 불릴까요? '붉은 악마'는 ...
[숭례문]숭례문의 숨겨진 비밀
기사
l
20150209
호라는 의미까지 더해져 대한민국의 상징이자 국민의 자존심처럼 여겨온 건축물입니다. 숭례문은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는
전통
목조건축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기도 하다. 오로지 나무를 깎고 짜맞추는 방법으로 복잡하면서도 더없이 화려한 ‘다포식’ 양식을 만들어낸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다섯째, 숭례문 기둥에는 왜 소나무를 ...
국제시장을 다녀왔어요~~
기사
l
20150123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나는 엄마랑 함께 실제로 국제시장을 견학해보았다 국제시장은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에 있는
전통
시장이다. 1945년 광복이 되면서 일본인들이 철수하자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미군 군용 물자와 부산항을 통해 밀수입된 물자들이 유통되어 시장의 규모가 확장되었다고 한다. 우리집에서 국제시장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