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습"(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그 사회를 닮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미 인간들이 차별과 혐오를 저지르는데 이를 학습한 인공지능에게 도덕성을 바랄 순 없겠죠. 사실 전 이루다가 행한 혐오 발언에 앞서, 이용자들이 인공지능에게 가한 행동이 더 심각한 문제로 와닿았습니다. 이루다를 성적 쾌락의 도구로 대하고 성희롱했다는 ...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데 그쳤습니다. 그런데 딥러닝을 비롯한 AI 기술의 발달로 음성 데이터를 빠르게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음성 인식 기술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습니다. 음성 인식 기술은 현재 다양한 AI와 결합해 사용되고 있죠. 음성 인식 기술의 변천사를 알아볼까요? * 보충설명목소리의 기본 주파수 :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시험문제를 무척 어렵게 내는데, 다음 학년 문제집에 나온 문제들이 많아서 마치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것처럼 느껴져 우리나라 교육 현실이 안타까웠다”고도 했죠. 하지만 고대 그리스에서 수학을 전공한 현자들이 수학을 통해 성취를 느끼고 성장한 것처럼, 몰랐던 걸 알아내는 기쁨을 ...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현재는 과학자와 예술가, 인문학자, 심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힘을 합해 수학 학습부터 질병 치료까지 다양한 목적을 위해 게임을 개발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세상에 유익한 게임을 만든다면 어떤 게임을 만들고 싶나요 ... ...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팀은 복잡한 수식을 이용하지 않아도 인공신경망이 음성 신호에서 특징을 추출해 학습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물론 수학 지식을 많이 알수록 이런 기술을 더 깊게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답니다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아나운서가 꿈? 인공지능에게 맡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녹음된 여러 개의 목소리가 필요해요. 예를 들어 ‘강낭콩’이라는 말을 인공지능이 학습하게 하고 싶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강낭콩’이라고 말하는 녹음 파일의 파형*을 준비한 뒤, 인공지능에게 ‘이렇게 생긴 파형이 ‘강낭콩’의 발음이야’라고 알려줘야 해요. 인공지능은 공통된 특징을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흥미롭다는 어투로 나에게 물었다.“껄끄러워. 어쨌건 내가 한 작업으로 뭔가가 학습을 한다는 거잖아?”“바퀴벌레 있을까 봐 컴퓨터 본체 청소 못 하는 소리 하고 있네. 아무 데이터도 주입하지 않으면 딥러닝도 못 해.”“그거야 그런데.”나는 말문이 막혀 캔맥주를 한 모금 마셨다. 친구가 턱을 ... ...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선배들과는 수시로 대화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새로운 소재를 찾기 위해서는 기계학습을 비롯한 컴퓨터 과학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조언을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승재 씨는 G-SURF를 마치고 회로 이론을 비롯해 전자, 컴퓨터와 관련된 다른 학부 과목을 수강하기 시작했다.4년 동안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3단계] 음성 인식하기 음성 인식 AI가 음성의 특징을 추출했으니 이제 1단계에서 학습한 음향모델, 발음사전, 언어모델을 이용해 음성 신호가 어떤 말인지 인식할 차례입니다. AI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며 가능한 조합을 따져봅니다. 명확하지 않은 음성이 있어도 그 단어의 앞뒤 ...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이후 과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인공지능에 화석종과 화석이 발견된 지층의 시기를 학습시켰어요. 같은 시기에 살던 종도 기록했지요. 그 뒤 인공지능으로 생물들의 멸종과 탄생 시기를 살펴봤어요. 분석 결과, 연구팀은 대멸종과 대규모의 종이 탄생한 시기가 일치하지 않고, 인과관계도 명확하지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