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의"(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칸으로 구획된 한 사분면을 생각하자. 코너 칸에 평면 아메바 한 마리가 놓여 있다. 편의상 코너가 왼쪽 아래에 있다고 하자. 이 평면 아메바는 이분법으로 번식을 하는데, 한 마리가 둘로 분열되면서 각각 위 칸과 오른쪽 칸으로 한 마리씩 이동한다. 단, 한 칸에 아메바 두 마리가 들어갈 수는 ...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많지 않거든요.아, 제 소개부터 할게요. 우리는 언어가 없으니 이름도 당연히 없지만, 편의상 저를 ‘네안’이라고 불러 주세요. 네,네안데르탈인의 그 네안이에요. 나이는 8살. 아직 꿈 많은 소년이랍니다. 물론 우리들의 평균 수명이 35년으로 짧기 때문에 이 정도 나이도 아주 어린애는 아니에요.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주사위 놀이를 매우 즐긴다는 사실!” 말을 마치기가 무섭게 주사위를 힘차게 던진 흰 편의 김유신. 고누를 시작할 때보다는 힘이 빠진 듯하다. 하지만 그의 말싸움 실력은 여전하다. 3·3이 나와 기분 좋게 ❶에 놓인 말 2개를 3칸 이동해 ❹에 위치시킨다. “쌍륙과 계백, 뭔가 똑같은 느낌 안 들어? ... ...
- “좋아하는 과목 공략이 금메달 비결”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지금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아진다고 말한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학습과 편의를 최대한 지원하고 있고, 틈틈이 해외활동이나 봉사활동의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도 좋은 혜택이다. 특히 국제대회에 나가 보니 학교가 더욱 자랑스럽게 여겨졌다. “꼭 과학에 관심이 많고 열정이 있는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연구하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덱스트러스(Dexterous)’ 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글에선 편의상 손가락 형이라고 부르겠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은 사람의 손동작을 흉내 낼 수 있도록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붙어 있고, 손가락마다 3개 이상의 관절이 붙어 있습니다. 보기에도 사람의 손과 ... ...
- Part 3.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다르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그러나 조금만 더 깊게 살펴보면 커다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허각은 14살 때부터 편의점 아르바이트와 환풍기 수리를 하며 밥벌이를 했다. 하지만 노래에 대한 열정에 이끌려 노래를 할 수 있는 곳이면 밤낮 가리지 않고 무대에 올랐다. 오직 혼자의 힘으로 가수의 길을 개척한 것이다.한린 박사 ...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식량이 실린다. 원자로 2기로 이뤄진 발전설비 등도 모두 갑판 아래에 있다. 병원과 편의점, 커피전문점, 우체국, 세탁소와 쓰레기 처리장까지 없는 시설이 없다. 눈에 띄지 않는 일을 하는 수많은 대원과 숨겨진 첨단 장비들. 이들이 움직여야 90여 대의 비행기도 위용을 발하는 셈이다 ... ...
- 외골격 로봇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통화할 수 있는 무선장치, 손목형 컴퓨터와 인공위성위치확인장치(GPS) 등 각종 편의장치도 갖추면 현재 기술로 실현 가능한, 가장 현실적인 ‘슈퍼솔저’로 변모할 수 있다.만화영화의 단골소재였던 ‘기갑보병’이 정말로 현실화 되는 것이다. 슈퍼솔저 특공대… ‘정밀 제어’가 관건슈퍼솔저는 ...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름을 붙이고 국제지명등록을 앞두고 있다(전에는 국제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편의상 우리끼리 불렀을 뿐이었다). 필자는 2009년 12월, 세종과학기지의 그림지도를 그리기 위해 22일간 남극을 다녀왔다. 얼음과 빛이 그린 산수화남극 풍경을 바라보면 사진에 관심이 없던 사람도 카메라를 ...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모으고, 심지어 회전까지 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었다. 빛의 마법사. 이 교수가 한 편의 논문에서 꿰뚫어 본 것은 정말 마법사의 능력이었을지도 모른다. 2007년, 이 교수는 연구실 이름을 ‘액티브 플라즈모닉스 응용시스템연구실’로 바꾸고 본격적으로 플라즈모닉스 연구에 뛰어들었다.신비로운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