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자
모형
틀거
판
사진틀
프레임
금형
d라이브러리
"
틀
"(으)로 총 843건 검색되었습니다.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내 깊고 풍부한 소리를 냅니다. 하지만 관악기의 몸체는 악기 속 공기기둥을 가두는
틀
역할만 합니다. 현악기에서는 현이 진동하면서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만들어내는데, 관악기에서는 공기기둥이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며 일정한 주파수를 만들어내거든요. 이 말은 악기의 재료와 음색이 직접적인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황금색이 나타난다. 손 연구원이 이 일을 맡았다. “국새 표면을 한 번 닦는 데만 꼬박 이
틀
이 걸린다”며 “일주일을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국새를 닦았다”고 말했다. 사실 광택을 내는 방법은 많다. 산을 이용하는 게 대표적이고 쉽다. 하지만 국새가 손상될까봐 직접 손으로 닦는 방법을 택했다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백 교수가 있는 ‘연세 프로테옴 연구원’에 두기로 결정했다. 이번에 전체운영
틀
을 확실히 잡았기 때문에 내년 9월 9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HUPO 총회부터는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할 수 있다. 마침 루디 에버솔드 스위스 취리히공대 교수가 이끄는 ‘생물학/질병 기반 단백질사업’도 같이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이 책은 수학의 지식이어떤 의미가 있으며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소개한다. 수학을 큰
틀
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한다는 점에서 추천한다.김남준 서울 불암초 교사, 전국수학교사모임 초등교육과정팀장4.5.정의 수학나라_동녘, 2005수는 처음 어디에서 왔을까? 수학의 시작에서 현대 수학에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과학문화 발전과 대중화에 기여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랍니다.저는 과학이란 삶을 바꾸는
틀
이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에 의존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을 이용해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과학의 역할이라는 뜻이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과학을 다루는 사람이 수학이나 과학뿐 아니라 ... ...
[Sports Math] 규칙을 담은 춤, 댄스스포츠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채로 춤을 추기 때문에 둘이 균형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라틴댄스는 피겨의
틀
안에서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정장과 드레스 차림인 모던댄스와 달리 옷도 자유롭다. 남녀가 떨어져서 춤을 추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균형보다는 둘의 호흡이 중요하다.ISTD는 10개 종목에 대한 기본스텝과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분명히 나뉘어 있고,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한 방향으로만 판매되고 있어요. 그래서
틀
에 박히고 경직돼 있지요.”전기자동차를 생각해 보자. 자동차가 언제 어느 장소를 달리고 있을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충전할 시간과 장소 역시 예측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지금의 주유소처럼 전국 곳곳에 전기 ... ...
아이스크림이 혀에 착 감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결합을 어느 정도 깨트리는지가 맛의 노하우”라고 밝혔다. [ 걸쭉한 아이스크림을
틀
에 담고 막대기를 꽂으면 빙과류 아이스크림이 완성된다. 아이스크림 원액을 냉동시키는 것부터 완성품을 포장하는 단계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화 돼 있다. 컵에 담긴 아이스크림은 대부분 ‘레귤러’ ... ...
직장을 넘보는 암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직접 돌이나 모래를 부수는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또 주물 작업처럼 모래로
틀
을 만들어 그 안에 고온의 금속 용액을 넣을 때도 모래의 결정이 깨지며 생길 수 있다. 안연순 교수가 2010년 12월 대안의학학술지(영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주물 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중에 폐암, 위암,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잘 암기하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대학에서 원하는 학생은 생명현상을 종합적인
틀
에서 관찰하고 예측할 수 있는 학생이다. 무조건적인 암기보다 각각의 현상이 왜 그런지 고민할 줄 알아야 한다.생물심층 구술면접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방대하지만 그래도 출제빈도가 높은 주제들이 존재한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