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빨
이
tooth
d라이브러리
"
치아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때문에 주둥이가 비교적 뭉툭하게 보이며 아래로 처진 귀는 털이 길어서 커 보인다. 결손
치아
가 거의 없고 송곳니가 다른 개에 비해 특이하게 크고 강하나, 역교합(逆咬合) 또는 절단교합(絶斷咬合)이 상당한 빈도로 발견된다. 몸체는 튼튼하고 등은 수평이며 발은 털에 싸여 있으므로 굵고 강해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등 인공조직은 신체의 기능에 버금갈 정도로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인공수정체 인공
치아
의수족은 국내외적으로 상업적인 생산단계에 있다. 인공유방이나 인공성기 역시 거의 완벽한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인공장기 중에서 생명에 직결되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개발된 것은 인공신장과 ... ...
어른 5명 중 4명은 치주병 환자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흔히 '잇몸병'이라 알려진 치주병은 실은 턱뼈의 일부가 녹는 심각한 질환이다. "이가 흔들리십니까? 잇몸에서 피가 나세요…"TV에도 자주 등장하는 광고의 한 부분이다. 이는 현대인이 이(齒牙)를 잃게 되는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치주병의 초기증세, 치주병, 혹은 '치조농루'라고도 불리는 이 ... ...
X선 기술로 미이라를 영상화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CT스캐너에 잘 들어 맞았다."연구진들이 밝힌 흥미로운 사실중 한가지는 제니의
치아
가 매우 건강한 상태였다는 것이다. 고대 이집트인의 이를 분석해보면 그 수명이 짧고 잇몸까지 손상돼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제니는 예외였다. 3차원 영상은 또 그녀가 사랑니를 한개만 갖고 있다는 사실을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효과적으로 위생관리를 할 수 있다.그리고 입안에서 심한 입냄새가 나는 경우 대개
치아
에 남은 음식물찌꺼기에 구강내 세균들이 붙어 부패하는 과정에서 생긴 냄새가 그 원인이다. 또 음식물찌꺼기나 세균이 침속에 있는 칼슘성분을 흡수, 마치 돌같은 치석을 형성할 때 생긴 냄새이기 십상이다.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파레가 하였던
치아
이식도 실시했다. 그러나 헌터의 수술은 대단히 엉성해서 이식된
치아
로 혈관이 자라나지 않았고 감염에 대한 방비책도 없었다. 그리고 헌터는 환자 자신의 몸속에서 장기조직의 위치를 옮기는 자가이식과 다른 개체의 것을 옮기는 경우인 동종이식의 차이에 대해서도 전혀 알지 ... ...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형이라 손으로 조작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장치라서 어금니같이 낮은
치아
에도 적용하기가 수월하다는 설명이다. 수학적 방법으로 아이디어 돌파구 찾기도83년 그가 특허를 따자 도하 각 신문사에서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화제의 인물로 그를 소개했다. 윤씨의 발명품이 ... ...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정성스런 주의를 필요로 하긴 하지만 아직도 매우 건강하다. 물론 인간은 파충류처럼 새
치아
로 교체하지는 못한다.)아무튼 이빨로부터 얻은 정보는 나이든 공룡과 어린 공룡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출생률과 같은 사실들에 관한 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약탈동물의 수와 희생되는 동물의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한다. 보통은 스테인리스 선재를 구부려 넣으면 활이 펴지는 힘으로
치아
가 교정되는데, 시간이 지나면 탄성을 잃기 마련. 형상기억합금은 오랜기간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이를 응용한 것이 여성용 브래지어와 안경테. 유방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등 각기 생김새가 다르다.한편 '테랍시드'의 화석은 수직형다리와 각기 생김새가 다른
치아
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문의 여지가 없이 파충류로 알려져있다. 이건 또 왜일까?그 이유는 파충류와 포유류 사이에 또 다른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모든 포유동물의 아래턱 뼈는 하나다. 그런데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