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취재"(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공장은 자유로운 연구비와 연구자 사이의 치밀한 네트워크를 재료로 쓰고 있었다. LMB를 취재하며, 노벨 생태계는 데이터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한편으로는 너무나도 대조적인 한국의 현실이 안타까웠다. 올해 한국 과학자가 노벨상을 타지 못한다면 그것은 어쩌면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노벨상 수상자 중 가장 많은 수상자를 배출한 NIH를 취재했다. NIH는 올해 약 36조 원(323억 달러)의 재정을 생명현상과 인간행동 연구에 투자했다. 그 중 83%가량(약 268억 달러)이 NIH 외부의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나머지 예산 중 11%는 NIH 산하 연구소 소속 연구자들이 ... ...
- [수학뉴스] 미술품 가짜 논란, 수학으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위조했다는 사람이 나타나면서 사건이 다시 미궁으로 빠졌습니다.최근 동아일보 취재팀은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 배용원)가 ‘미인도’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수학에 기반을 둔 ‘웨이블릿 변환’을 국내 최초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웨이블릿 변환은 200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기관 중 하나가 부재해 이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차별 받고 배제 당했다. 한 달 내내 취재를 하면서 이런 의심은 추호도 해보지 못했다.기자가 다뤘던 첨단기술들, 소위 ‘핫’한 과학은 사실 과학이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과학철학자인 저자는 이 책에서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PSI 생활이 항상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닙니다. 결정적인 애로사항은 바로 음식입니다. 취재를 도와준 이진희 PSI 에너지환경 연구부 박사후연구원은 아예 “맛집은 포기하라”고 단언하더군요. 스위스가 전체적으로 음식 값이 비싸고 맛이 없어서 연구원들 대다수가 직접 점심 도시락을 만들어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아직 불가능하다(오른쪽 기사 참조).나의 하플로그룹은 어디에 있을까기획을 하고, 취재를 하는 내내 너무나 궁금한 것이 있었다. ‘대체, 내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은 무엇일까.’ 피펫 좀 잡아본 기자가 머릿속으로 실험계획을 세워 봤다. 기본적인 장비를 제외한 대략적인 비용은 5만 원.1. ... ...
- [과학뉴스] 노케미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노출될 수 있는데 그 중 호흡기가 일반적으로 가장 위험하다”고 말했습니다. 익명의 취재원에 따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균제를 액상으로 붓는 것과 스프레이로 뿌리는 것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독성실험을 한 뒤 제품으로 내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고 해요.이처럼 화학제품들로부터 완전히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질 연구(KORUS-AQ)’다. 하늘과 바다에서 연구가 진행되는 현장을 두 기자가 직접 찾아가 취재했다.“멀미약 챙겨 드셨나요. 항공기가 지표면 가까이 낮게 나는 데다 빙글빙글 돌면서 오르내리는 코스도 있어서 심하게 흔들릴 거예요.”5월 7일 오전 5시 대한민국 공군작전사령부인 경기 평택의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요소를 묻자 김 교수는 “돛이 문제없이 펴지는지”라는 다소 싱거운 대답을 했다. 취재를 가기 전 미리 찾아 본 영상에서는 CNU세일-1의 돛이 문제없이 잘 펴졌기 때문이다(QR코드 참조). “혹시 지금 펴볼 수 있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교수는 “돛을 접는 데만 하루가 꼬박 걸린다”며 난감해 했다 ... ...
- [Editor’s Note] 혼자 밥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코너가 있는 것을 본 독자가 많을 것이다. 중요한 기사의 핵심 개념, 흥미로운 취재의 뒷이야기, 표현의 한계로 지면에서 미처 풀어내지 못한 내용을 움직이는 그래픽(모션그래픽)으로 만들어 왔다. 한 해 남짓한 기간 동안 만든 그래픽이 40개가 넘는다.이 모든 작품을 만든 이는 담당 이영혜 기자와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