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축구"(으)로 총 8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정도로 방대하다. 우리은하 지도라고 봐도 될 정도다. 실제로 이 사진을 인쇄하면 미식축구 경기장 크기의 광고판이 필요할 만큼 거대하다.우리은하의 모습을 한눈에 상세하게 들여다보기 위해 마련한 ‘글림프스360(Glimpse360)’ 프로젝트는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조만간 우리은하 별의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구조를 밝히는 것만으로도 노벨상을 두 차례나 받은 흥미로운 원소다. 1985년 발견된 축구공 모양의 풀러렌과 2004년 발견된 그래핀이 그 주인공이다. 1991년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아직 노벨상을 수상하진 못했다.탄소는 원자 6개가 모여 육각 구조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풀러렌의 경우 육각 ... ...
- [수학뉴스] 더 공평한 월드컵 조 편성 방법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2014 브라질 월드컵 조 편성에서는 미국이 속한 G조가 ‘죽음의 조’라고 불린다. 미국이 축구 실력이 좋은 독일과 포르투갈, 가나와 한 조이기 때문이다. 물론 미국은 이런 상황 속에서도 자신들의 기량을 펼치며 아주 잘 싸우고 있지만, 선수들은 적어도 죽음의 조 만큼은 피하고 싶었을 것이다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터전시화호 조력발전소 주위에는 ‘티-라이트(T-LIGHT)’라고 하는 공원이 마련돼 있다. 축구장 9개보다 큰 6만 8100m2의 대지에 바다가 보이는 시원한 산책로와 전망대, 편의시설이 있다. 그래서인지 오가는 사람들이 자주 차를 멈추고 바다를 즐기고 간다. 서해안에 위치해 있어서 낙조도 일품인데,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INSIDE | 공 때문에 졌다? 기자는 고등학교 때 기숙사 방별로 한 팀이 되어 맞붙는 축구 리그에 참여하곤 했다(한 방에 12명씩 16개 방이 있었다). 같은 방 친구들과 말랑말랑한 공으로 열심히 연습했는데, 정작 시합 때는 옆방에서 가져온 딱딱한 공에 적응을 못해 패한 적이 있다. 경기가 끝나고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골키퍼 중 최상위권에 선정될 법한 세계 축구계 젊은 수문장!한준희 위원이 말하는 H조의 축구 특성 별점 표대한민국수비력 ★★★ 3.5공격력 ★★★ 3.5조직력 ★★★★★ 5합계 ★★★★★★★★★★★★ 12러시아수비력 ★★★★ 4.5공격력 ★★★ 3.5조직력 ★★★★★ 5합계 ... ...
- 쓰레기가 예술이 되다! 정크 아트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작품에 이용하는 작가가 있다. 바로 프랑스의 작가 아나스타샤 엘리어스다. 동물원, 축구장, 실험실, 낚시터, 발레 공연장 등 그녀는 휴지심 안에 작지만 정교한 세상을 담아낸다.그녀의 작품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빛과 그림자를 적절하게 이용한 것이다. 단순한 빛깔의 휴지심 안쪽에 빛을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같은 승률은 약팀과 강팀의 득점률이 3:7이라는 가정에서 얻은 값이다. 게다가 오늘날의 축구에서는 3:7과 같이 절대적인 실력 차이를 보기 쉽지 않다. 3:7과 같이 절대적인 실력차이가 있음에도 두 골이 날 경우에 무승부가 될 확률이 무려 42%나 되기 때문이다.따라서 어떤 강팀을 만나더라도 경기를 ...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엘로 박사의 이름을 따서 ELO랭킹이라고 부른다. 미국 메이저리그 등 야구와 농구, 미식축구 등의 선수 순위를 매기는 데도 사용되고 있다. FIFA랭킹에서는 55위인 한국이 ELO랭킹에서는 36위(5월 20일 기준)까지 껑충 올라간다. 스위스 UBS 은행에서 2006년 ELO랭킹을 사용해 독일월드컵의 승패를 예측한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골 판정 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감나는 영상을 TV로 보여줄 수 없다는 점이 한계다.축구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이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과학의 힘으로 그 하이라이트를 더 욱 생생하고 진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올라! 브라질 월드컵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