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독관
간부
지휘자
d라이브러리
"
책임자
"(으)로 총 659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난자를 기증한 연구원에게 연구성과와 무관하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
책임자
가 일자리를 보장하겠다거나 금품을 제공하겠다거나 연구원의 이름을 논문에 실어준다는 등의 약속을 할 가능성이 있다.사면초가 최고과학자하지만 지난해 ‘네이처’와 인터뷰한 K씨가 정말 자신의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등에서 10여명이 참여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직접 촬영하려는 프로젝트의
책임자
다.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노정희 박사는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궁수자리의 삼렬성운에서 ‘별들의 인큐베이터’를 발견해 올해 초 미국천문학회에서 세계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우주 초기의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서 교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지원하는 일명 ‘크림(CREAM)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
다. CREAM(Cosmic Ray Energetic And Mass)이란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 즉 우주선(cosmic ray)의 에너지와 성분을 의미한다. NASA가 10년 내 풀어내고자 하는 10대 과제 중 하나로 선정해 2000년부터 5년간 총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려면 이 세균을 배양해야 했다. 마셜은 같은 병원 미생물학과
책임자
인 굿윈에게 배양을 부탁했다. 연구진은 ‘위장 속’이라는 너무나 다른 배양 환경을 실험실에서 제대로 만들지 못해 한동안 실패를 거듭했다.어느날 행운이 찾아왔다. 연구진은 위 점막을 배양한 뒤 3일 동안 ... ...
2010년 '우주여객선'이 뜬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현재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러시아의 소유즈를 대체하게 된다.유럽우주기구(ESA) 개발
책임자
인 알란 터케틀은 “소유즈는 오랫동안 사용해 부품이 너무 낡았다”며 필요성을 밝혔다. 클리퍼는 최대 6명의 인원을 태우고 우주정거장에 도킹해 길게는 1년까지 머물 수 있다. 2011년 첫 비행을 떠날 ... ...
베이 vs 타코마 다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뛰어나기도 했지만 다리에 미칠 자연재해의 영향까지 치밀하게 고려됐다. 다리 건설
책임자
였던 퍼셀은 지진이 다리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조사한 뒤 이를 설계에 반영했다. 비록 현수교와 외팔보 다리라는 이중구조로 인해 퍼셀 안이 실현되지 못했고, 1989년 지진으로 다리가 손상되기도 했지만 ... ...
소음 없는 비행기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생긴 소음이 위로 분산돼 아래에 있는 사람들에게 잘 들리지 않는다.비행기 프로젝트의
책임자
인 폴 콜린스 박사는 “승객들은 하늘을 날 때 마치 극장에 있는 것처럼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콜린스 박사는 “이 비행기의 첫 디자인은 1년 안에 완성될 계획이며 10년 안에 테스트 모델이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지원하는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이끄는 단장으로 말이죠.30여 명의 연구
책임자
들과 함께 수많은 프로젝트를 해 내며, 프로테오믹스 연구의 밝은 미래를 만들고 있는 단장님의 리더십은 정말 대단하죠? 오랜 노력의 결과, 단장님이 쓴 논문들은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려 인정을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날개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했으며 수리할 시간도 없었다.우주선테스트
책임자
인 제프 스폴딩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이번 디스커버리가 가장 안전한 우주선이라는 것을 주저하지 않고 말할 수 있다”고 할 정도로 NASA는 디스커버리의 성공을 확신하고 있다. 우주에서 우주선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반사해 더 밝아졌으며 앞으로 더 밝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딥임팩트 프로젝트의
책임자
인 메릴랜드대 마이클 아헌 교수는 “충돌체가 충돌했을 때 만들어진 불투명한 깃털 모양의 구름 모양과 환하게 밝아진 빛이 가장 놀라운 현상”이라며 “혜성 표면이 활석가루같이 고운 가루로 덮여 있는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