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내용인 만큼 꼼꼼하게 공부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하지만 이런 노력이 늘 전공과목의 실력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꼼꼼함이 성적을 결정짓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 과제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문제를 다 푼 뒤에도 풀이 과정이나 계산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4학년’을 보내고 있을 1~2학년 학생들에게 건투를 빈다.반면에 3학년에 진학해서 전공과정으로 들어가면 수업들이 전반적으로 재밌어진다. 교수님들의 수업 의욕이 높아진 이유도 있지만, 필자가 속한 전자정보공학부 같은 공학부에서는 실험과목이 본격적으로 늘어나 시간이 정신없이 흘러간다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개발처럼 연구 이외의 업무조차도 과학 전공자를 우대하는 추세”라며 “이공계를 전공하더라도 흔히 생각하는 연구개발 외에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또 그는 대학 시절 방송국 앵커 일과 파티 플래닝 등 현재 직업과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일들을 재미 삼아 시도했던 경험을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하지만 퀀텀닷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예요.”연구실을 이끄는 이종수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퀀텀닷을 실생활에 활용하려면 극복할 문제가 여럿 남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발광다이오드(LED) 같은 발광소자는 내부 전자의 에너지값 차이를 이용해 빛을 낸다. 전자가 외부에서 전기나 빛에너지를 ... ...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전학이나 전과가 쉽다. 그래서 낙제로 힘들어하다가 첫 학기에 그만두고 학교나 전공을 바꾸는 학생이 주변에 많다. 필자의 경우도 카를스루에공대에 입학한 후 1학기 때 경제수학과 오리엔테이션에서 마음이 잘 맞는 친구 7명과 그룹을 만들었는데, 이 중 필자를 포함한 3명만 경제수학과에 남아서 ... ...
- [동상이문] 5화 사랑에 빠지는 순간 ‘허니와 클로버’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그 영향인지 봄만 되면 이 영화가 생각나더라고. 영화에 등장하는 모든 이들은 미술을 전공하는 학생들이야. 틀에 박힌 작품을 원하는 학교와의 갈등, 천재와 평범한 학생 사이의 미묘한 벽, 현실과 타협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는 청춘들의 고민을 담은 성장 드라마야. 너도 꼭 한번 보면 좋겠어! ... ...
- [진로체험] 지윤성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로 세상을 읽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수도 있지요. 주변에서 데이터를 분석해볼 만한 주제를 찾는 것도 좋답니다.↓대학교A전공은 그리 중요하지 않아요. 이공계나 인문계 상관 없이 온라인 무료 교육 과정을 듣거나 데이터를 다같이 분석해 결과를 공유하는 ‘케글’ 등의 사이트에서 활동하면서 스스로 공부할 수 있어요. 배우면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DGIST) 바이오로봇메카트로닉스 연구실에서 만난 윤동원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직접 제작한 자연모사 로봇을 선보이며 이렇게 말했다. ‘곤충과 동물을 본따서 만든 로봇은 아담하고 귀여운 모습이지 않을까’ 하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윤 교수가 가리키는 곳에는 거대하고 기괴한 모양의 ...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틀을 벗어나면 새로운 게 보여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설명했고, 결국 선생님을 설득하는 데 성공해 질소 과자를 판매할 수 있었다. 화학을 전공한 이공계 출신이라는 점이 스타트업 경영에도 도움이 된다. 가령 데이터를 분석할 때 한 그룹을 통제한 뒤 비교해 결론을 얻는데, 엄 대표는 화학 실험 시간에 실험군과 대조군을 설정하듯이 비교군을 ... ...
- [부록] 수학자 인 보드 게임 개발자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정수론자’라 불리는 일명 ‘크니치아 박사’. 독일 울름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다. 출시된 작품만 600개가 넘을 만큼 어마어마한 다작으로 유명하다. ‘모든 게임이 숫자로 시작해서 숫자로 귀결된다’는 평을 받을 만큼 수학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게임을 많이 만든다. 대표작 : 태양신 라,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