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내용인 만큼 꼼꼼하게 공부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하지만 이런 노력이 늘 전공과목의 실력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꼼꼼함이 성적을 결정짓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 과제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문제를 다 푼 뒤에도 풀이 과정이나 계산 ... ...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전학이나 전과가 쉽다. 그래서 낙제로 힘들어하다가 첫 학기에 그만두고 학교나 전공을 바꾸는 학생이 주변에 많다. 필자의 경우도 카를스루에공대에 입학한 후 1학기 때 경제수학과 오리엔테이션에서 마음이 잘 맞는 친구 7명과 그룹을 만들었는데, 이 중 필자를 포함한 3명만 경제수학과에 남아서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전략을 세우고 싶다면 코딩이나 수학보다는 마케팅 경험이 중요해요. 꼭 데이터나 수학 전공이 아니어도 데이터 분야에 들어올 수 있으니 언제든지 도전하세요!해당 진로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조언해주세요.수학 문제를 풀 때 문장 형태의 문제를 간결한 수식으로 나타내는 게 첫 번째죠. 여기서 더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따라 디스플레이도 대폭 얇아질 수 있다.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현재 퀀텀닷 디스플레이에는 광원도 탑재해야 하고 퀀텀닷 필름도 수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 수준이지만, 자발광 퀀텀닷은 광원도 필요 없고 퀀텀닷 층도 20~50nm 수준으로 상당히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4학년’을 보내고 있을 1~2학년 학생들에게 건투를 빈다.반면에 3학년에 진학해서 전공과정으로 들어가면 수업들이 전반적으로 재밌어진다. 교수님들의 수업 의욕이 높아진 이유도 있지만, 필자가 속한 전자정보공학부 같은 공학부에서는 실험과목이 본격적으로 늘어나 시간이 정신없이 흘러간다 ... ...
- [진로체험] 지윤성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로 세상을 읽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수도 있지요. 주변에서 데이터를 분석해볼 만한 주제를 찾는 것도 좋답니다.↓대학교A전공은 그리 중요하지 않아요. 이공계나 인문계 상관 없이 온라인 무료 교육 과정을 듣거나 데이터를 다같이 분석해 결과를 공유하는 ‘케글’ 등의 사이트에서 활동하면서 스스로 공부할 수 있어요. 배우면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접속(BMI·Brain-machine interface) 기술과 유사하다.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인공 눈이 뇌에 심은 칩으로 파악한 적의 정보를 순식간에 보여주는 모습이나, 체내 호르몬에 변화를 일으켜 신경전달 속도를 순식간에 올리고 근육을 강화해 속도와 힘을 얻는다는 설정은 ... ...
-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과언이 아니다. 어렸을 때부터 과학동아와 같은 과학잡지를 좋아하고, 임산생명공학을 전공한 이공계 출신인 것이 도움이 된다.과학뉴스를 보도할 때는 일단 사용하는 용어 자체가 다르다. 코로나19 관련 뉴스를 소개할 때도 ‘비말’ ‘음압병실’ ‘에크모’ 등 대중에게 생소한 단어를 많이 쓴다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개체 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왔다. 기자가 방문한 날에도 생태학, 수의학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원들이 모여 야생적응훈련과 방사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야생적응훈련은 방사된 여우가 자연에 적응해 살아갈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여우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인 설치류를 사냥하게 하거나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DGIST) 바이오로봇메카트로닉스 연구실에서 만난 윤동원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직접 제작한 자연모사 로봇을 선보이며 이렇게 말했다. ‘곤충과 동물을 본따서 만든 로봇은 아담하고 귀여운 모습이지 않을까’ 하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윤 교수가 가리키는 곳에는 거대하고 기괴한 모양의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