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황일하 연구원은 “이전에는 용액을 분리하려면 물리적인 가림막이 필요했으나, 소리를 이용하면 접촉하지 않아도 두 물질을 분리할 수 있었다”며 “화학 반응을 조절하는 색다른 방법이 탄생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클래식이나 락 음악에도 반응할까요? 처음 소리로 실험을 하게 된 ... ...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입력해 참이 되는 명제나 추측을 찾을 수 있고, 코드로 만들어진 증명을 다시 생성형 AI를 이용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꿔 논문을 쓰는 방식으로 연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통 수학자는 어떤 내용을 참이나 거짓이라 가정하고 증명을 시도하는데, 증명하지 못하거나 그 가정이 ... ...
- [과학뉴스] ‘불멸의 세포’ 헬라 세포 70여 년 만에 보상 받는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소송을 제기하며 시작됐다. 당시 유족들은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이 헬라 세포를 이용해 이익을 창출했으나, 유족에게는 어떠한 금전적 보상도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유족들은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이 랙스의 유전 물질을 불법적으로 상업화했다며 “흑인의 고통은 적절한 보상이나 ... ...
- [특집] 쓰임 다한 배터리가 모이는 곳 미래폐자원 거점수거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추출제를 넣어서 유가 금속 이온이 추출제로 이동하게 합니다. 그런 다음 층 분리 원리를 이용해 원하는 성분을 분리합니다. 예를 들어 망간이 잘 녹는 추출제를 황산 침출액과 섞은 뒤 가만히 두면 망간과 추출제가 섞인 층이 따로 생깁니다. 이 층을 분리해 다시 황산을 넣어주면 황산망간(MnSO4) ... ...
- [독자기고] 세계 큐브 협회 월드 챔피언십 2023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개가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모습도 구경할 수 있었다. 정말 신기했다. 큐브 여러 개를 이용해 그린 그림도 눈에 띄었다. 큐브를 도안에 따라 맞춰 여러 개 이어 붙이면 중세 시대 모자이크화 같은 그림이 완성된다. 필자도 과학동아 로고 모양, 기초과학연구원(IBS) 로고 모양 등의 다양한 큐브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현대자동차와 협업 중이어서, 산업계 및 이용자들의 일상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기대됩니다. 이 양자컴퓨팅 기반 자율주행기술은 고려대가 보유한 원천기술로서, 미래로 나아가는 AI딥러닝 모빌리티 연구의 최일선에 있음에 자부심을 ... ...
- [기획] 단백질 구조, 악보로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 순서가 마치 오선지 속에서 반복되는 음계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생각했어요. 이를 이용해 악보를 표현할 방법을 만든 거죠. 연구팀은 또한 쇼팽이 작곡한 등 기존의 유명한 클래식 음악들을 AI에게 입력해 기존의 유명한 곡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학습시켰습니다.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구역의 낚시왕! 비결은 ‘편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우주를 관측할 때도 쓰입니다. 지난해 8월, 달로 떠난 다누리 탐사선에도 편광 현상을 이용한 장비가 실렸어요. 바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광시야편광카메라(폴캠)’예요. 달 탐사선 중에는 최초로 편광 관측 장비를 탑재해 주목 받았지요. 두 대의 카메라로 이뤄진 폴캠은 다양한 각도에서 ... ...
- [똥손 수학체험실] 미니 행복 일기장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A4용지의 4배만큼 큰 거예요. 종이 한 장 속에 숨은 2배의 비밀! ‘배’의 성질을 이용해 나만의 미니 행복 일기장을 만들어 봐요. 용어 설명규격★ 어떤 제품의 품질, 모양, 크기 등을 일정하게 만들기 위한 기준이에요 ...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있는지 가설을 세워 ‘실험’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량이 나온 뒤 이 가설을 이용한 기술을 구현해야 하지요. 만약 100만 개를 공정해 봤더니 보안 칩 99만 개가 불순물 비율이 똑같으면 이 가설은 적용하기 힘들어요. 다 달라야 고유의 ID를 생성할 수 있지요. 또 10개만 실험했다면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