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마블 역대급 빌런 정복자 ‘캉’ 앤트맨이 이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간대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다세계 해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캉은 여러 개의 우주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능력을 가졌고요. 앤트맨 슈트를 벗으면 우리와 같은 평범한 인간인 스캇이 캉에게 어떻게 맞설지가 정말 궁금해집니다. 몸에 맞게 커지고 작아지는 앤트맨 슈트를 ... ...
- [과학 뉴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누리가 지구와 달 사진을 찰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촬영했어요. LUTI 외에도 다누리에는 영구음영지대를 탐사하는 섀도캠, 자기장 측정기, 우주인터넷 탑재체가 있지요. 앞으로 다누리는 LUTI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달 표면을 고해상도로 촬영해 우리나라가 2032년 쏘아 보낼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 선정을 도울 예정입니다. ●40쪽 과학동아천문대에서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호는 발사체와 사람이 탑승하는 우주선으로 이뤄져 있어요. 겨울철 별자리로 유명한 이 우주선의 이름은 무엇일까요?➊ 쌍둥이 ➋ 오리온 ➌ 마차부 ➍ 큰개 ➎ 작은개팝콘플래닛 ‘플레이콘–놀이터–어과동–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온도가 상승하면 바닷물의 증발이 늘어나 더 많은 수분이 대기 중에 순환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대기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대기가 머금을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은 약 7%씩 증가한다. 대기 중에 물이 많으면 강수 확률이 높아지고, 바다와 대륙에서 폭풍이 더 강해질 수 있다. 피해는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천체물리학 이론과 우주의 팽창 과정에서 암흑물질이 한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빅뱅 우주론도 알 필요가 있습니다. Q. 암흑물질 연구의 트렌드는 무엇인가요?오랫동안 암흑물질 연구를 주도해온 윔프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새로운 암흑물질 후보와 그 후보 물질들의 생성 과정에 대한 연구가 최근의 ... ...
- [가상 인터뷰] 방사선으로 쓰러졌던 주노, 구사일생으로 회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컴퓨터에 영향을 끼쳐서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어. 그래도 빨리 회복했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의 임무 통제소와 여러 과학자들이 고장 이후 대처 방법을 고민했어. 그리고 12월 17일 주노의 컴퓨터를 원격으로 재부팅하는 데 성공했지. 이후 주노는 탐사선이 운영하는 데 ... ...
- [우주탐험대] 매리너 2호 / 금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갈 거야! 우린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여러 탐사선에서 부품을 모아 우주에서 최고로 멋진 우주선을 만들기로 했어. 이번엔 세 번째 탐사선을 만나 볼까? 매리너 2호1962년, 미국은 금성 탐사선 매리너 1호와 2호를 발사했어요.1호는 폭발했지만, 2호는 3개월 비행 끝에 금성에 도착했지요.매리너 2호는 ... ...
- [이달의 뉴스] 충돌과 붕괴로 그려진 화성의 곰돌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뭉툭한 코. 영락없이 ‘곰돌이’의 얼굴을 그려놓은 것 같다. 사실 이 모습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정찰위성(아래 그림)이 2022년 12월 12일 촬영한 화성 표면이다. 너비가 2km에 이르는 얼굴형은 실제 화성 표면 위에 남겨진 원형의 패턴이고, 두 눈은 크레이터, 코는 ‘V’자 모양으로 무너진 ... ...
- [이달의 뉴스] 지구 내핵 회전 멈췄다 기후변화에 영향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구 평균 기온, 해수면 상승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 베이징대 지구및우주과학부 연구팀은 1967년부터 지구 내핵을 통과했던 다수의 지진파를 분석한 결과, 내핵이 2009년 이후로 회전을 멈췄다고 ‘네이처 지구과학’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1-022-01112-z 교신저자인 송 ... ...
- [특집] 노벨상의 산실, 가속기의 계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연구 중 20% 가까이가 가속기에서 나왔다. 입자가 충돌하며 새로운 입자가 발견되거나, 우주 초기 모습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지금 가속기의 세대교체를 앞두고 있다. 우리는 앞으로 가속기를 통해 어떤 꿈을 더 그려 볼 수 있을까. 가속기의 계보를 그려봤다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