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심리"(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정말로 존재할까.몸과 정신 사이에 어떤 상호작용이 있는지 연구하는 미국 노스웨스턴대 심리학과 줄리아 모스브릿지 박사는 2014년 3월, 인체는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인지과학의 프론티어 저널’에 실었다(doi: 10.3389/fnhum.2014.00146). 모스브릿지 박사는 자신이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하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청소년 시기에 거짓말을 가장 많이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심리학기록, 2015, 160, 58-68).경제학상뉴질랜드 마세이대의 마크 아비스, 영국 버밍엄대의 사라포비스, 뉴질랜드 오타고대의 쉘라흐 퍼거슨 박사는 영업과 마케팅 관점에서 돌(rock)의 성격이 어떻게 인지되는지 ... ...
- [Tech & Fun] 더 이상 ‘이불킥’은 하지 말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느끼기도 하고, 심지어 공격적으로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심리학과 브래드 부시먼 교수팀은 사사람이 곱씹기를 할 경우 감정이 어떻게 달라지고 또 어떤 생각을 하는지 실험으로 알아봤다(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5 Jun, 88, 969-83). 부시먼 교수는 실험참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올린 글과 댓글을 열심히 읽었다. 일상에서 대인관계가 활발하지 못한 것에 대해 심리적으로 보상받기 위해서다. 하지만 연구팀이 실험을 해 본 결과 SNS를 아무리 열심히 해도 외로움은 충족되지 못했다.미국 오레곤 건강과학대의 앨런 테오 교수는 2004년부터 6년간 사람들마다 어떻게 대인관계를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다. 우리에게는 사람과 닮은 인형이나 로봇을 보고 징그러움이나 무서움을 느끼는 심리가 있다. 언뜻 익숙해보이지만 사실은 낯선 대상이 나의 생존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무의식이 낳은 본능적인 감성이다. 마치공포영화에서 “내가 아직도 너희 엄마로 보이니?”라고말하는 ‘엄마 모습을 한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투고한 소논문에 바로 퇴짜를 놓은 바 있다. 이타적 행동의 진화를 연구한 논문은 심리학이나 사회학 학술지로 보내라는 충고와 함께 말이다(6화 참조). 그런데 같은 해에 윈-에드워즈가 집단 선택설을 종합한 대작 ‘사회적 행동에 관한 동물 분포’를 출간하자, 네이처는 저자가 책의 내용을 직접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경험이 아니고서는 새로운 자극이 처음부터 장기기억으로 저장되기는 쉽지 않다.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는 아무 의미 없이 알파벳을 뒤죽박죽 적은 단어를 실험참가자에게보여주고 기억하게 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기억이 점점 사라지는 것을 관찰했다. 재미있게도 단어를 ...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돌 전후 아기의 공간 추론 능력으로 4살 어린이의 수학실력을 가늠할 수 있다고 ‘심리과학지’ 8월 15일자에 밝혔습니다.먼저 연구팀은 생후 6개월에서 13개월 사이의 유아 63명을 대상으로 ‘시각적 공간 능력’을 검사했습니다. 컴퓨터 화면에 테트리스 게임에 등장하는 퍼즐 조각과 유사한 도형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표정이 단순히 얼굴의 구조적인 특성으로만 결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영국 글래스고대 심리학과 필립 사이킨스 교수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오드 올리비아 박사는 동일한 얼굴 사진을 큰 것부터 작은 것까지 나열하고 표정을 읽게 하는 ‘닥터 앵그리와 미스터 스마일’ 실험을 했다(위 사진).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러나 꿀벌이 의식을 가진 존재라고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이르다. 캐나다 댈하우지대 심리학 및 뇌과학과 셸리 앤 아다모 교수는 ‘의식을 설명한 것인가, 재정의한 것인가(Consciousness explained or consciousness redefined)?’라는 반박 논문을 통해 “바론과 클라인 교수는 ‘자기인식’ 같은 의식과 관련된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