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언
말실수
d라이브러리
"
실어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한국 최초 우주인도 우주육종 실험을 할 예정이다. 먼저 중국의 쉬찌안 8호에 씨앗을
실어
우주환경에 노출시켰던 때처럼 씨앗을 가져간다. 이번에 우주여행을 할 씨앗은 모두 9종 300g으로 지난번 7종에 담배와 인삼이 추가됐다.이들 씨앗은 2008년 1월 러시아의 화물우주선 프로그래스에 실려 미리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역할을 하는 유전자 네 개(Oct4, Sox2, c-Myc, klf4)를 찾아낸 뒤 이들 유전자를 바이러스에
실어
생쥐 체세포에 넣었다. 그 결과 이 체세포가 배아줄기세포와 매우 비슷하게 전환된 것을 확인했다.Oct4와 Sox2는 배아줄기세포 같은 전분화능 세포에서만 발현하는 유전자이고, c-Myc과 klf4는 암세포에서 많이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만1000대 1 경쟁률 뚫고 선발돼소유즈는 6개월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우주인 3명을
실어
나른다. 따라서 말레이시아가 다음 발사 예정일인 2008년 4월 8일 첫 우주인을 배출하는 우리나라에 앞서 ‘한발 먼저’ 첫 우주인을 배출한 셈이다.말레이시아의 첫 우주인 배출사업인 ‘앙카사완 ... ...
탄소나노튜브 타고 날아가는 항암 폭탄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베타 방사선의 차이는 포탄과 BB탄의 차이와 같다”며 “알파 방사선을 탄소나노튜브에
실어
몸 속에 보내면 암 치료의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여기에 드는 제작비용은 약 50만원 정도. 올해까지 캔샛 3대를 만들었지만 아직 로켓에
실어
발사한 적은 없다.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R&E(Research & Education) 활동으로 캔샛을 만들고 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의 도움을 받아 2007년 3월 처음 ‘깡통’을 손에 잡은 이들은 지난 8월 컴퓨터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한양대 생명과학부 김효준 교수가 개발한 비만백신이다. 지방을 몸속 각 조직으로
실어
나르는 운반체인 저밀도지질단백질이나 초저밀도지질단백질등이 조직에 지방을 축적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아포리포프로테인 B-100(apolipop -rotein B-100) 단백질의 작용을 막는 비만 치료백신이다. 그는 “앞으로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스스로는 멀리 전파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반송자(carrier)에 음성신호를
실어
멀리까지 전파할 수 있도록 변경시켜 주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한다땅속에서 솟아나오는 샘물로서 가스상(狀) 혹은 고형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음료수어떤 종류의 결정판에 일정한 방향에서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40년간 줄곧 대형화돼 왔다. 정지궤도가 제한돼 있고 위성에 가능한 한 많은 중계기를
실어
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통신방송위성은 4~6톤까지 나가고 수명도 15~20년까지 길어지고 있다.흥미롭게도 통신방송위성이 아닌 아리랑위성도 점점 대형화되고 있다. 1호는 무게가 470kg이기 때문에 소형위성에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표면, 은하수의 별, 목성의 위성 등을 새로 발견한 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라는 책에
실어
세상에 알렸다.갈릴레이와 동시대에 여러 사람이 동시다발적으로 제작하고 개선하던 망원경은 곧이어 중국과 일본, 그리고 조선에 전해진다.영조가 망원경 깨뜨린 이유 가톨릭 선교단체인 예수회에서 ... ...
뮤지컬 CATS로 본 고양이 생활백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호랑이, 치타의 침과 혈액샘플을 분석해 이들 고양이과 동물의 혀에는 단맛을 뇌로
실어
나르는 미각수용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실제로 개에게 쓴 약을 먹일 때 달콤한 시럽을 섞어주면 잘 먹는 반면 고양이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최근에는 설탕으로 범벅이 된 곡물 사료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