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계"(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위에 정이십면체 전개도를 그려 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격자의 한 축은 h, 이 축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60° 회전한 축은 k이다. 가장 작은 정이십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1이므로 h=0, k=1(또는 h=1, k=0)이다. 이때 T=1이다.그 다음으로 큰 정이십면체는 h=1, k=1이다. 이때 T=3이다. 그런데 T=3일 때의 ... ...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돌고 있는 것이다.푸코의 실험에서 추의 진동면은 약 32.7시간마다 완전한 원을 만들었다. 시계방향으로 매 시간 약 11°씩 회전한 셈이다. 이것은 지구가 자전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됐고, 이 실험은 푸코의 진자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에 알려졌다 ... ...
- [수수께끼 1] 앨리스의 특이한 곱셈수학동아 l2015년 11호
- 11월 1일이 일요일이라면 7을 더한 8일도 일요일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달력은 12진법, 시계는 60진법을 쓴다.그렇다면 앨리스의 엉터리 곱셈이 제대로 된 답이 되려면 몇 진법을 써야 할까? 특정 진법 하나만 떠올리면 절대 답을 구할 수 없다. 곱셈마다 다른 진법을 사용해야 한다.4×5를 18진법으로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생각해요. 독일이 대표적인 예지요. 독일은 기계를 잘 만들기로 유명해요. 자동차나 시계하면 독일에서 만들어진 것이 값도 비싸고 좋은 평가를 받지요. 덕분에 인구가 7000~8000만 명밖에 되지 않는 작은 나라인 독일이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이 됐답니다. 앞으로 우리 미래세대도 기계공학에 좀 더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뇌와 장에서는 배부름이나 배고픔을 느끼는 호르몬들이 추가로 분비된다. ‘배꼽시계’의 정체다. 전분을 많이 먹는 잡식동물은, 음식 섭취에 따라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량이 확연하게 달라진다. 이에 따라 배부름 혹은 배고픔 호르몬 분비가 반복되면서 음식을 자주 먹게 되는 것이다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 “구글 번역기 돌리죠.” 전 세계 블로그를 종횡무진하며 사진과 영상을 한참 보고 시계를 보니 벌써 2시간이 넘게 지나 있었다.미래의 파브르 100명“혹시 당신 같은 학생이 또 있느냐”고 묻자, “전 아무것도 아니에요”라는 답이 나왔다. 건혁 학생이 속한 ‘생물자원연구회’는 그와 비슷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푼 몸속 시계의 원리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하루를 주기로 돌아가기 때문이지요. 이처럼 우리 몸속에는 다양한 주기를 만드는 시계가 있는데 이것을 ‘생체리듬’이라고 합니다.최근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는 미분방정식의 해를 확률 분포로 나타내 생체리듬이 유지되는 원리를 밝혀냈습니다. 김 교수는 “이 해를 생체 회로에 대입하면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매달려 왕복운동하는 기구다. 물리진자는 추 대신 긴 자가 매달려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시계추처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물리진자 운동에서는 관성모멘트(회전하는 물체가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에너지)를 반드시 고려한다.땅에 닿아 있던 발이 떨어지고 몸을 옮기면서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둥둥 떠다니지요. 이렇게 플라스틱 쓰레기가 한곳에 모이게 된 것은 이 지역의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타원형을 그리며 불고, 바닷물도 같은 방향으로 소용돌이치기 때문이에요. 그 결과 태평양을 지나는 바닷물의 절반은 이곳으로 모이는데, 쓰레기들도 바닷물을 따라 이 지점으로 모이게 되는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015년 10월 21일. 1985년 개봉한 영화 ‘백투더퓨처’에서 타임머신 자동차의 시계에 찍힌 날짜다. 당시 상상했던 30년 뒤의 미래가 바로 올해인 2015년이다. 시간여행은 우주여행과 더불어 SF의 단골 소재다. 시간여행은 과학 법칙으로 정당화될 수 있을까. 상대성이론은 시간여행의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