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d라이브러리
"
수증기
"(으)로 총 84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브 맥커리의 ‘진실의 순간’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2월)이 오기 전에 장마(6월~9월)가 시작된다. 바로 몬순 때문이다. 아라비아 해에서 발생한
수증기
의 흐름이 인도양과 벵골 만으로 들어오는 남서해양풍의 영향으로 장마를 내린다. 벵골 만 주변에서는 특이한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해 매년 그 지역을 무섭게 강타한다.맥커리는 인도 곳곳에서 몬순의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열대 태평양에서 몰고 온 눈 폭탄네~, 미지근 기자입니다! 저는 폭설의 원인 이 된
수증기
가 바다로부터 공급되었다는 제보를 입수하고 열대 태평양 한가운데에 와 있습니다. 해수면 온도는 기후와 날씨에 매우 큰 영향을 주거든요. 아니나 다를까, 수온을 재어 보니 태평양 바다의 수온이 평년보다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최근 많은 과학자들은 백두산이 화산활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수증기
나 마그마를 뿜지 않아 휴화산으로 알고 있던 백두산에서 진도 2.0정도의 약한 지진이 수없이 감지됐기 때문이다. 2002년 이후로 이 같은 화산성 지진은 크게 늘어 한 달에 240번이 넘는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 ...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슬이 되어 맺히다가 얼어붙는다. ▲겨울철 서리의 모습. 서리는 영하의 추운 겨울철
수증기
가 이슬이 되어 땅에 내렸다가 얼어붙어 생기는 것이다. 서리가 생길 때의 기온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서리가 생길 수 있다.예술이 된 얼음너무 추워~! 이번엔 날 또 어디로 데려온 거야? 우리나라 맞아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닥나무는 매년 10월에서 이듬해 3월 사이에 채취한다. 베어낸 닥나무를 솥에 담고 밀봉해
수증기
로 껍질이 벗겨질 때까지 6~7시간 쪄낸다. 부드러워진 껍질은 벗겨 말린다. 말린 껍질을 다시 물에 불려 발로 밟은 다음 하얀 속껍질 부분만 가려내 천연 잿물을 넣은 솥에 약 2시간 정도 삶는다. 이렇게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1999년 부산앞바다에서 비행하던 중 음속을 돌파하는 장면. 비행기바로 뒤로 구름 같은
수증기
덩어리가 만들어졌다.초음속 월드, 충격파를 이용하라!그런데 비행을 방해하는 충격파에는 특이한 성질이 있어요. 바로 소리의 네 배, 다섯 배 속도까지 내는 비행기를 만드는 데 쓸 수 있다는 사실! ... ...
2. 순간의 대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이 상태에서 갑자기 기계의 뚜껑을 열면 쌀은 크게 팽창한다. 쌀 안에 들어 있던 수분이
수증기
로 바뀐 채 높은 압력에 꾹 눌려 있다가 갑자기 바깥의 압력이 낮아지면 빠르게 쌀을 빠져 나가면서 쌀이 커지는 것이다. 갑자기 커진 쌀 안에는 수분이 빠져나간 공간이 많아 부드럽게 씹힌다. 뻥튀기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APR1400 개발과정에서 한수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자들은
수증기
와 냉각수의 상호 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없이 반복해야 했다. ARP1400의 실물을 5분의 1로 축소한 ‘MIDAS’라는 모의실험장치도 만들었다.한국 원전이 프랑스를 누른 비결에는 첨단 정보기술(IT)의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같은 방수투습 원단을 옷감에 접착하거나 코팅한다. 이 원단에는 물 분자보다 작고
수증기
분자보다는 700배 정도 큰 구멍이 거미줄처럼 뚫려 있다. 외부의 물 분자는 구멍에 막히거나 원단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들어오지 못하지만 내부에서 생긴 수분은 몸을 움직일 때마다 내부공기와 함께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일어난 걸까. 눈은
수증기
를 품은 습한 공기가 0℃ 이하의 찬 공기와 만날 때 생긴다.
수증기
는 건조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건조 공기를 뚫고 올라가 상층에서 응결한다. 이렇게 생긴 물방울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차가운 공기를 만나 얼어버린다. 이것이 눈이다. 이때 두 공기 사이에 온도 차이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