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d라이브러리
"
수술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게 뭘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특히 학생들을 가르치는 게 특별하게 다가왔어요.
수술
을 받았던 학기에는 강의가 너무 하고 싶었어요. 그러다 탈도 여러번 났지요. 한 학생이 그랬어요. ‘왜 이 지경이 되도록 강의하냐고’. 정말 그렇게 생각했어요. 내가 이 시간 여기에 있는 게 가장 쓸모 ... ...
7회 명성병원에서 최동건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환자는 최동석 환자와 쌍둥이 형제예요. 같은 날 교통사고를 당한 후에 병원에서
수술
을 받았는데, 둘 다 기억과 말을 모두 잃었어요. 자세한 건 담당 의사를 만나 물어 보세요.”생각하지 못한 쌍둥이 형제 이야기에 당황한 왕 반장은, 곧장 담당 의사를 찾아갔다. 담당 의사는 쌍둥이 형제가 있는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첨단 의료장비가 늘고 있지만, 배터리가 큰 걸림돌이다. 몸에 유해한 배터리는 치료 후
수술
로 꺼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 일리노이대 존 로저스 교수팀이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녹아서 몸에 흡수되는 ‘생분해성 배터리’를 개발해 저널 ‘네이처’ 3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이 배터리는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만들 수 있다. 이 기술은 암세포가 온몸으로 퍼진 말기 암 환자에게 특히 유용하다.
수술
로 제거할 수 없는 작은 암세포를 줄기세포를 이용해 구석구석 공격하는 것이다.필자의 연구팀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김승업 교수와 함께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해 보았다. 생쥐에 사람의 암세포를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뇌에 전극을 직접 부착하기 때문에 잡음이 적은 뇌 신호를 얻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뇌
수술
을 반드시 해야 하고, 뇌에 삽입한 전극은 시간이 지나면 그 특성이 변하기 때문에 쉽게 시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그래서 현재는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가 전혀 없는 ‘비침습식 방식’도 많이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는 곳, 즉 탁엽이 부채꼴이고
수술
도 5~10 개입니다. 짚신나물은 탁엽이 계란형이고
수술
이 12개 지요.그리스 중부에 있는 파르나소스 산에서는 신하에게 독살될 뻔한 미트라다테스 왕이 이 풀을 먹고 해독돼 살아났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그래서 마법의 풀로 전해 지지요. 한방에서도 짚신나물은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공격적인 암”이라며 “현재 기술로는 환자의 생존 기간이 15개월 정도”라고 했다.
수술
을 하더라도 뇌라서 매우 조심스럽고 혹시라도 남은 암세포가 퍼질 수 있어 위험하다. 뇌의 정상세포는 건드리지 않고 암세포만 확실히 죽이는 방법은 없을까. 기존 약물은 잘 통하지 않으니까 대신 암세포에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사람들이 원하는 특성을 가진 건강한 과일이나 곡물로 성장시킬 수 있대. 이렇게 성형
수술
을 한 씨앗들 중에 해충에 강한 씨앗인 내가 아마 가장 유명할걸~!일단 해충에 대해 살충효과를 갖고 있는 토양미생물을 찾아. ‘바실러스 튜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가 대표적이야. 이 미생물의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수 있었지만, 기억이 몇 분밖에 지속되지 않았다. 새로운 기억을 받아들이지 못하니,
수술
을 받은 이전만 기억하고 이후는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시간이 멈춘 사람’이 됐다. 나중에는 거울에 비친 자기 얼굴도 몰라보게 됐는데, 젊은 시절의 자기 얼굴만을 기억하기 때문에 늙어버린 자신을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안 좋아 인공 심장박동기를 달고 있는 환자는 수 년에 한 번씩 재
수술
을 통해 배터리를 교환해야 한다. 이런 환자에게 희소식이 생겼다. 미국 스탠퍼드대 아다 푼 교수 연구팀은 사람 몸 속에서 무선으로 충전되는 심장박동기를 발명해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9일자에 발표했다.무선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