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도"(으)로 총 1,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럼 연방의 미래를 결정할 큰 사건 하나를 알려 드리죠. 이 행성 시간으로 약 3개월 전에 수도 항성계를 사이에 두고 전쟁이 벌어졌어요. 팽창주의 동맹이 정권을 잡았죠. 팽창주의 정권은 은하계의 안정을 위협하거나 테러를 저지를 수 있는 불멸자들을 모두 잡아들이기로 했어요. ‘정보량은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평을 들어왔다. 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다는 건, 어지간한 항생제에 다 내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균, 이른바 ‘슈퍼박테리아’가 나올 가능성도 더 커졌다. 문제는 한국에 이들 다제내성균을 억제할 강력한 최신 항생제가 없다는 사실이다. 내성을 갖추면서 세균은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통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인간의 후각신경구가 절대적으로 크고, 안에 들어있는 신경세포 수도 1000만 개 내외로 다른 동물과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그는 또 동물마다 특히 잘 인지하는 냄새가 다르다는 데 주목했다. 논문에 따르면 인간은 쥐나 원숭이보다 볶은 커피 냄새 중 하나인 ‘3-머캅토-3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따라서 관 지름과 펌프 세기가 적절해야 비용이 적게 든다. 하모니 서치는 여러 지점의 상수도관 지름과 펌프의 세기를 변수로 두고 비용을 최소로 하는 최적해를 찾는다. 자율주행자동차 사람 없는 자동차에게 길을 알려라!자율주행자동차는 3차원 공간을 2차원 평면에 놓을 때 모든 선이 향하는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오히려 득표율이 떨어집니다. 당선이 목표인 나진보와 장보수도 움직일 이유가 없으므로 균형을 이룹니다. 반대로 왼쪽 선분에 두 명, 오른쪽 선분에 한 명이 있어도 균형이지요.이처럼 삼자대결일 때는 혼자 진보 후보이거나, 혼자 보수 후보여야 이길 수 있어요. 그래서 2012년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촬영이 시작됐다. 간만에 ‘각 잡고’ 찍는 사진에 다들 긴장하신 기색이 역력했다.*장수도 : (85세 이상 인구 수/65세 이상 인구 수)×100“할머니! 여기 보고 한 번만 웃어주세요~! 입 꼬리를 조금만 올리면 너~무 예쁘실 것 같은데요~.” 마치 돌잔치를 연상시키는 장면이었다. 긴장한 어르신들의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웨이블릿 변환의 역사는 약 200년 전 프랑스의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가 등장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푸리에가 만든 ‘푸리에 변환’이 웨이블릿 변환의 토대이 ... 집요하게 파고들어 얻은 77세 노수학자의 업적을 기리는 아벨상 시상식은 5월 23일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서 열린다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배 이상 뛰어난 양자컴퓨터를 개발한다면 향후 RSA 공개 키 암호방식은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아무리 빠른 양자컴퓨터도 풀 수 없는 암호방식이 있다. 바로 자신의 형제인 양자정보를 활용한 암호방식이다. 위조할 수 없는 양자정보로 지폐를 만들면? 때는 1960년대 후반, 당시 미국 ... ...
- Intro. 모순이냐 진리냐? 역설 정복의 꿈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자라나는 자신의 머리를 어떻게 할까? 평생 자신의 머리를 자를 수도, 자르지 않을 수도 없는 모순의 삶을 살까, 뛰어난 지능으로 해결책을 내놓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순이냐 진리냐? 역설 정복의 꿈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Part 3. 인공지능도 ... ...
- 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노래한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뛰어넘을 수 없나요?골드바흐의 추측이나 연속체 가설처럼 당장 해결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는 문제에 계속 도전하는 건 인간뿐이에요. 우리 인간이 해결 가능한 문제인지, 불가능한 문제인지 알게 된다면 인공지능에게 가르쳐줄 수는 있겠지요. 물론 계산 속도는 인공지능이 훨씬 빠르겠지만요.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