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협력을 이루기 위해 신뢰를 쌓는 법 등 20가지 동물의 리더십 이야기를 폭넓은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다. 리더십의 기원과 기능, 필요 등 본질을 꿰뚫어보는 일련의 과정에서 탐사팀을 오랫동안 이끌어 온 저자 특유의 리더십이 더욱 부각된다. 다양한 동물 사회의 리더십을 들여다보고 리더십과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 그리스어 연습장 ◼︎ 19세기 말 영국. 한 소년이 의자에 앉아 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기장의 표지엔 ‘그리스어 연습장’이라고 적혀 있네요. ... 학생입니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을 좋아해 이번 연재를 통해 러셀의 생애를 소개합니다 ... ...
- 플레이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기사 댓글을 연재 기사에서 기사 댓글을 달아도 소감터에 소개될 수 달아도 소감터에 소개될 수 있습니다. 고연우(ywk**)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기사에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는 내용이 흥미로웠어요. 원서현(lib**)과학 뉴스를 읽고 무게를 재는 새로운 단위 표현이 생겼다는 소식에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개발 음모론의 주인공이었지만 사실은 그게 아니었던 천재 과학자’라는, 어정쩡한 소개 밖에는 떠올리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진짜 이휘소는 어떤 과학자였으며, 과학의 역사에서 그의 자리는 어디인가? 의혹 2 이휘소가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핵무기’라는 키워드 ... ...
- [Space Math] 몰랐던 지구 정보 밝힌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인류의 과학은 마침내 블랙홀을 사진으로 찍는 데 성공했다. 밀리미터 파장을 가진 전파를 감지할 수 있는 여러 대의 전파 망원경을 결합해 블랙 ... 김상돈 지사장은 우주 산업에서 ‘수학’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한다. 김 지사장이 매달 소개하는 우주 기업에서 그 이유를 엿볼 수 있다 ... ...
- [가상 인터뷰] 방사선으로 쓰러졌던 주노, 구사일생으로 회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어라? 주노가 벌써 퇴원했다고? 주노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목성 탐사선 ‘주노’라고 해. 2011년 8월 5일 지구에서 출발해 2016년 7월 4일 목성 궤도에 도착했어. 나는 2018년까지 일하고 은퇴할 예정이었지만, 할 일이 아직 남아 있어서 계속 열심히 목성을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귀스타브 에펠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에펠탑에 담긴 숨은 이야기들을 영상에서 찬찬히 소개합니다.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찾아보기구독자가 원하는 실험이 있다면, 대신해주는 김미랩의 김미래 PD!눈 없이 눈사람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기에 김 PD가 도전했습니다. 요소 가루와 물, 본드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여행 중 미로에 빠지지 않도록 길잡이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우수 미션 참가자를 소개합니다!•서지원저의 미디어 이용 가이드 라인은 이러해요.➊ 확인되지 않은 거짓 정보를 믿고, 퍼트리지 않기.거짓 정보를 믿으면 좋지 않고, 퍼트리기까지 하면 심각한 문제의 이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➋ ... ...
- [이달의 뉴스] 투우사 벌레의 화려한 다리 깃 수수께끼를 풀어라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투우사 벌레’를 가상인터뷰하는 형식으로 살펴봤다. 투우사 벌레님, 자기소개 부탁드려요.안녕하세요. 저는 멕시코,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파나마와 같은 중남미 지역에서 살고 있어요. 분류상으로는 노린재목에 속하죠. 저는 자연 속에서 유유히 살고 있는데, 인간들은 저를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확인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죠. 체외배양 모델의 궁극적인 목표는? 2월호에서 소개한 블라스토이드와 이번 이야기의 주제인 가스트룰로이드의 목표는 사실 같습니다. 겨냥한 시기가 착상 전과 후로 다를 뿐, 궁극적으로는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여러 조직 및 장기를 만들어내려 합니다. 줄기세포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