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대"(으)로 총 2,4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색과 종자의 모양처럼 개체가 가진 표현형마다 우성과 열성의 유전자형이 있으며, 부모 세대의 완두콩 암꽃과 수꽃으로부터 하나씩 받은 형질 중 어느 한쪽 형질만 일정한 수학적 규칙에 따라 나타난다는 겁니다. 이 수행평가는 멘델의 유전법칙을 토대로 자신이 만들고 싶은 형질을 가진 부모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서울시 환경상 최우수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대원들께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어요. 이어 “지구사랑탐사대는 미래세대인 어린이들이 지구를 탐험하면서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필요한 문제의식을 나누고 적극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지요.환경상 대상에는 녹색도시를 위한 ...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제가 마흔 살이 되는 2050년엔 산호초의 99%가 소멸할 테니까요. 지구온난화는 우리 세대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줄 문제예요. 독자 분들도 많은 관심을 가지면 좋겠어요! [스토리 따라잡기] “방귀는 온실기체인 메탄으로 이뤄져 있거든요. 우리 동화나라는 작으니까 여러분의 방귀로도 기후가 변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뽀글뽀글 비눗방울을 키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분리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특정 성질의 물질을 분리해 이동시키거나 전달하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어요.지난 2018년, 기초과학연구원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연구팀은 자기장, 빛, 전기에 모두 반응하는 나노입자 계면 활성제를 만들어 발표했어요. 외부 자극으로 액체방울을 조종하는 ... ...
- ㄱㅇㅈ···기술로 언어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영어를 쓰도록 했죠. 그러면서 다켈 부족 언어를 쓰는 일은 부끄러운 일이 됐고, 다음 세대로 언어가 이어지지 못했어요. Q왜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하게 됐나요?‘듀오링고’라는 앱으로 프랑스어를 공부한 적이 있어요. 여기서 아이디어가 시작됐죠. 앱 안에는 다켈 부족 어른들이 말하는 ... ...
- ㅅㅇ···사라지는 언어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제주 어린이들이 있다면 할머니, 할아버지와 제주어로 대화를 해 봤으면 좋겠어요. 미래 세대인 어린이들이 꾸준히 제주어에 관심을 가진다면 제주어를 지킬 수 있을 거예요 ... ...
- [과학뉴스]나비의 날개처럼 유연한 인공 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지난 8월 22일, 카이스트 오일권 교수팀은 이온성 인공 근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세대 나노물질인 ‘맥신’을 전극에 적용해 부드럽게 움직이는 소프트로봇용 인공 근육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인공 근육을 이용해 나비의 부드러운 날갯짓을 구현한 소프트로봇 예술 ... ...
- 노릇노릇 보기 좋은 빵이 맛도 좋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약 0.2nm(1nm=10억분의 1m)로 매우 얇고 가벼워요. 전기가 잘 통하고 강도가 우수해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지요. 기존에는 그래핀을 만들려면 537℃ 이상의 특수 오븐이 필요했지만, 이 레이저는 쉽게 그래핀을 만들 수 있어요. 연구진이 개발한 레이저는 먼저 그래핀을 만들 재료의 겉을 태워 탄소를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종을 공개했다. 팔다리 굽힐 수 있는 달 탐사용 새 우주복 NASA는 길이가 98m에 이르는 차세대 대형 로켓인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을 이용해 2020년 오리온(Orion) 우주선을 달 궤도에 보낼 예정이다. 2021~2023년에는 오리온에 우주 비행사 2~4명을 태우고 달 근접 궤도까지 접근했다가 지구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많은 기능을 담아야 하고 이를 위해 성능을 업그레이드해야할 것”이라며 “이를 위한 차세대 반도체 산화물의 박막 두께는 1μm 수준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반도체용 박막은 수십μm 수준이다. 손 교수는 “연료전지는 박막 두께를 1μm까지 얇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며 “이 경험을 토대로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