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힘/토크(Force/Torque sensor) 센서를 설치해야 합니다. 힘/토크 센서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부위는 손과 발입니다. 그래서 로보트 재권V의 손목과 발목에도 힘/토크 센서를 설치하겠습니다. 힘을 측정할 수 있다면 그 힘의 정보를 이용해 상황을 판단할 수 있겠죠. 또 유명한 뉴턴의 운동법칙인 F=ma(힘은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분할해 조립되도록 출력한 뒤, 3D프린터의 특성상 나타나는 얇은 출력층 자국과 접합 부위의 경계선 같은 불필요한 흔적을 지웠다. 표면을 매끄럽게 정리하고 사실감 있게 채색까지 마치자, 최초 발견 이후 50년 만에 마침내 데이노케이루스의 완벽한 골격이 복원됐다. 이는 가장 과학적인 고증을 ...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붙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그리고 후속 실험을 통해 마침내 산소농도가 감소할 때 DNA 부위에 결합하는 단백질 복합체를 찾아냈다. 그는 이 단백질을 ‘HIF(Hypoxia-Inducible Factor)’라고 명명했다.이후 그는 HIF 단백질 복합체를 이루는 두 단백질인 ‘HIF-1α’와 ‘ARNT’의 존재도 밝혀냈다. 저산소 ...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필요한데, 홍합 접착제가 제격이지요. 또한 뼛가루와 접착제를 섞어서 뼈가 부러진 부위에 발라놓으면 뼛가루가 혈액에 쓸려가지 않고 그 자리에 계속 남아 뼈의 재생을 돕기도 한답니다. 홍합의 단백질은 접착성이 우수하다면, 말미잘의 단백질은 늘려도 잘 끊어지지 않는 단단함을 갖고 있어요. ... ...
- 호금조, 다양한 머리 색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유전자를 알아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조류의 성염색체인 Z염색체 안의 특정 부위에 빨강, 검은 머리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있단 사실을 확인했지요. 셰필드대학교 김강욱 연구원은 “지금까진 주로 생태계를 관찰해 진화를 파악 했지만, 이번 연구는 유전자를 분석해 호금조 진화에 다양성을 ... ...
-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유사한 단백질을 가진 비둘기의 CRY4 단백질의 결정화 구조를 분석했다.그 결과 특정 부위에 유전적 변이가 생긴 일부 철새의 CRY4 단백질이 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적은 빛에도 CRY4 단백질이 활성화돼 밤에도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브라이언 ... ...
- SF, 현실이 되다 애드 아스트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뾰족한 모양을 띠고 있다. 달 표면을 돌아다니는 로버의 베어링이나 우주복의 연결 부위에 레골리스가 들어가면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그렇다면 레골리스를 활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레골리스를 섞어 만든 콘크리트로 달 기지를 건설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일정 두께 이상의 ... ...
- 나로호 프로젝트 본격 시동 협력 파트너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탱크가 무겁고 발사체의 효율이 낮다.반면 터보 펌프 방식은 추진제 탱크와 연소기 연결 부위에 따로 펌프를 단 엔진이다. 추진제 탱크에 직접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압력으로 추진제를 연소기로 내보낼 수 있다. 탱크를 가볍게 만들고, 절약한 무게만큼 연료나 위성을 더 실을 수 있다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참고로 답은 루마니아 지폐였다.평화 증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평화상은 어느 부위를 긁었을 때 가장 쾌감이 좋은지를 분석한 미국 등 국제공동연구팀에게 돌아갔다. 연구팀은 가려움 증상을 정량화해 발목과 등이 가장 가려우며 긁었을 때 쾌감도 크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심리학상은 ... ...
- 뇌가 제일 잘나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기관.인간의 뇌다. 인간 뇌의 가장 큰 특징은 고도화된 지능이다.지능은 뇌의 어느 부위에서 관장하는 것일까. 지능은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는 것일까, 아니면 자라면서 바뀌는 것일까. 공부를 잘하면 지능도 높은 것일까.아니, 그것보다 지능은 어떻게 측정하는 것일까. 인간의 지능을 모방한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