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으)로 총 8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냉장고를 부탁해 수학의 눈으로 본 요리 대결수학동아 l2015년 03호
- 8명의 셰프들이 서로 모두 이어지도록 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선의 개수는 정팔각형의 변 8개와 정팔각형의 대각선을 더한 수와 같기 때문이다.정n각형의 대각선의 개수는 $\frac{n(n-3)}{2}$이므로, 정팔각형의 대각선은 $\frac{8(8-3)}{2}$=20개다. 따라서 모든 셰프가 서로 한 번씩 다 대결하려면 최소한 28(=8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수학으로 생각하기’시작하기 전에 : 이런 훈련은 억지로 공부하기보다는 스스로 주변 환경을 관찰하며 우연히 떠오른 수학적 아이디어로 시작해 생각을 구체적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입니다.❶ 자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도구와 기법-문제와 관련된 수학적 지식, 직관, ... ...
- [과학뉴스] 고릴라가 오랑우탄보다 ‘주당’인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변이가 선택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오랑우탄은 알코올 분해 효소인 ‘ADH4’에 돌연변이가 생기지 않았다. 때문에 체질적으로 다른 영장류에 비해 술에 약하다.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하고, 진솔하게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으며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Q 삼각형의 각 변을 지름으로 하는 원을 세 개 그리고, 원 세 개의 교점을 이어보니 처음 삼각형과 닮은 삼각형이 나왔어요. 여러 번 해 봐도 계속 똑같았거든요. 왜 이렇게 되나요? 정지수(한울초 4학년)A 조건에 따라 그렇게 될 수도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선, 면의 위치 관계와 형상을 연구하는 위상수학에서는 구부리고 늘이고 줄이는 것 같은 변형을 거쳐 서로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는 두 도형을 같은 도형으로 생각한다. 이런 도형을 ‘위상동형’이라 한다.오른쪽 사진은 뜨개질로 만든 쌍곡면 치마와 클라인 병이다. 색깔 별 실의 양이나 놓이는 ... ...
- 항생제 이겨내는 세균 이기는 항생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효소로 분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베타락탐 분해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돌연변이 등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항생제를 만나도 파괴 할 수 있지요. 연구팀은 유전자의 이런 성질을 이용하면 신종 항생제를 개발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어요.나보다 먼저 지구정복하는 걸 막으려면 세균을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체포한 박 형사가 주저앉아 오열하고 있을 때, 왕 반장과 소마가 도착했다. 이미 체포된 변 이장을 본 왕 반장과 소마는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박 형사, 어떻게 미로 출구를 빨리 찾은 거야?”박 형사의 손에는 창고 같았던 비밀공간의 쓰레기통에서 발견한 종이가 있었다. 종이에 그려진 미로가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그러나 물리학에서나 수학에서나 공리는 탐구과정의 유기적인 도구이기에 창조와 성숙, 변형과 죽음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화한다.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치버스의 조각에 나타나는 공리의 모습이 이런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사실이다. 예술품 ‘공리’는 현대 미술의 핵심인 진실성을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세 도시를 골라 삼각형을 그려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삼각형의 세 변은 직선이 아닌 곡선이다. 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이 180°보다 커진 것이다.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와 그의 제자 리만이 처음 발표한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의 수학적 토대를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또 분석 과정에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은 것도 포함시켜 변이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는 지적도 받았다. 이번 HUPO에서는 이들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자는 논의가 이어졌다.프로테옴 연구는 짧은 역사에도 벌써부터 실질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백융기 연세대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