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추격대를 피해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어디지? 아무것도 안 보여!”구름 속으로 들어가자 앞이 보이지 않는다. 추격대가 방향을 잃고 헤매는 사이에 티티르와 소녀는 손을 꼭 붙잡고 산을 오른다. 한참 오르자 갑자기 구름이 걷히며 절벽이 나타난다. 더 이상 올라갈 수가 없는데, 절벽 앞에 이상한 구조물이 놓여 있는 게 보인다 ... ...
-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경우를 시뮬레이션 했는데 이 경우 30일 정도 밝아졌을 거란 결과가 나왔다. 즉 시선방향에서 빗겨간 제트가 서서히 느려지며 관측된 게 아니라, 새롭게 뭔가 분출되는 형태여야만 장시간 지속적으로 밝아지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다른 가능성도 살펴봤다. 블랙홀에서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큰 문제가 숨겨져 있었다. 이른바 ‘지평선 문제’다.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의 어느 방향이든 온도가 동일하다. 입자 분포도 우주 전역에 균질하다. 이는 우주배경복사가 만들어질 당시 서로 빛으로도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던 지역들이 똑같은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라하과통 을션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미끄러졌습니다. ‘됐다!’딱지는 골인 지점을 향해 바람이 불 때는 옷을 펼쳤다가 다른 방향으로 불 때는 옷을 접었습니다. 그 모습을 본 다른 선수들도 각자 옷을 벗어들었지만, 딱지가 한발 빨랐습니다. “고딱지 통과!”딱지는 1등으로 골인 지점을 통과했습니다. 그때 우연히 로렌스 선배의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아니다. 지도 교수, 공동 창업자이자 약 물 전달 분야의 권위자인 김인산 교수와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또 다른 공동 창업자인 이원용 의학 교수는 남기훈 CSO가 전국의대생대표를 맡은 시절 알게 된 인연으로, 대외 업무와 투자를 담당했다. 세 명이 함께 약 3년 동안 서로 호흡을 맞춰본 후 만들어진 ... ...
-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비행 특성이 비행체에 필요한 이유 레이놀즈 수는 흐르는 물질, 즉 유체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인 ‘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로, 비행체가 유체에서 움직일 때의 역학적 특성과 관련이 깊어요. 크기가 큰 비행체는 날개의 세로 길이가 길고 비행 속도가 빠르기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0장. 무한한 사전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 과정은 무한히 많은 대상 중 A로 시작하는 단어의 모임, 오른쪽 방향 점의 모임처럼 특정 대상의 모임을 골라내는 행위가 가능해야만 성립합니다. 현실적으로 이는 불가능하지요. 무한히 많은 대상 중 특정 대상만을 골라내는 작업은 무한히 긴 시간이 필요할 테니까요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사실을) 못 찾더라도 실험 그 자체로 중요하다“며 ”못 찾은 데이터를 활용해 다음 실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노벨상을 받을 수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산속 1000m가 일터니 주중엔 가족들과 떨어져 지내야 한다. 그럼에도 이 연구위원이 연구를 계속하는 이유는 뭘까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천문대 갖고 싶어? 직접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바꾸세요.➌ 반지름은 ‘10’, 중심 좌푯값은 화면과 같이 입력하세요. ➍ 방향은 ‘y좌표’, 모드타입은 ‘외곽선’으로 바꾸세요. ➎ 같은 방법으로 ‘원 모양 만들기’ 명령블록을 추가해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좌표의 중앙에 있는 y좌푯값이 바뀌는 것에 주의하세요. ➏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바꾸면서 여객기처럼 안정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방식에서 전투기처럼 자유자재로 방향을 바꾸는 비행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해요. 하비 교수는 독특하게도 학부에서는 기계 공학을 전공하고, 동물학에서 석사 학위를, 항공우주공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어요. 석사 시절 우연히 갈매기의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