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d라이브러리
"
발광
"(으)로 총 458건 검색되었습니다.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리더바코드 리더에는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의 일종인 포토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에서 나온 빛이 렌즈로 집속돼 레이저광이 되고 이 레이저광은 바코드에 비춰져 다시 반사된다. 반사된 레이저광은 포토다이오드에서 감지돼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자동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특수하게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어두운 심해에서 광감각기를 포기하지 않고 빛을 내는
발광
기관을 발달시키면 먹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광감각기 대신 움직임을 느끼는 진동감각기관을 발달시키거나, 소리를 듣는 청각기관을 발달시키기도 한다. 또 자신이 필요한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수용기를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여러가지 노하우가 필요하다. 간단한 장치 속에서 또한번 과학을 볼 수 있었다. 이
발광
바퀴는 킥보드 외에도 휠체어, 인라인스케이트 등 여러 바퀴 제품에 쓰인다.킥보드를 잘 살펴보면 이 외에도 다른 재미있는 과학적인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읽고 있는 독자가 스스로 직접 찾아보는 것은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따라 다른 빛을 내는 나노물질의 성질을 이용한다면 한 물질로 모든 색을 내는 백색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나노입자 하나가 한 비트한편 최근에는 필자의 연구팀이 화학적 합성의 반응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모양의 반도체 나노결정을 얻을 수 ... ...
양자역학 뛰어넘은 플라스틱 LED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세상을 밝게 해준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전기가 열로 방출돼 효율이 낮다. 하지만
발광
다이오드인 LED(light-emitting diode)는 열로 방출되는 양이 작아 전구보다 빛전환 효율이 좋다. 이런 LED도 10%의 전기만 빛으로 전환한다. 물리학자들은 양자역학 기준으로 LED의 빛전환 효율을 최대 25%라고 예측한다 ... ...
물 줄 때를 알려주는 감자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통신이 12월 19일자로 보도했다.스코틀랜드에 있는 에딘버러 대학의 과학자들은 감자에
발광
해파리인 애쿼레 빅토리아에서 가져온 형광 유전자를 주입했다. 이 유전자는 수분이 부족해지면 자극을 받아 단백질을 형성하고, 이것이 잎에서 녹색으로 반짝거리게 만든다. 이 빛은 맨눈으로 잘 볼 수 ... ...
동물들의 신비한 초능력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폐는 오히려 몸 속에서 열을 내는 주요기관이다.이 외에도 동물들만의 수많은 비밀,즉
발광
동물이 반짝이는 이유는 무엇인가,동물의 몸속 전기는 무슨 일을 하는가,동물들은 어떤 식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고 감각기관들은 어떻게 움직이는가,왜 수컷과 암컷이 있으며 이들은 어떻게 만나는가 등에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빛이 차단된 검은 부분이 멋진 말머리를 닮았다. 색깔이 화려한
발광
성운에는 외뿔소자리의 장미성운과 백조자리의 면사포성운이 대표적이다. 장미성운은 온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운이라 할 만한데 밤하늘에 피어난 빨간 장미를 연상시킨다.행성상성운은 늙은 별이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신호를 받아 여러가지 색깔로 변하면서 글씨와 그래픽과 같은 정보를 전달한다. 마치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전광판과 비슷한 원리다. MIT에서는 수많은 전자잉크 캡슐을 격자모양으로 종이에 인쇄했는데, 그 해상도가 컴퓨터 모니터나 신문과 비슷한 수준에 이른다.이 기술은 가까운 장래에 ... ...
청자색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것으로 본다.정보를 더 촘촘히 기록과학자들은 왜 그렇게 짧은 파장을 내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찾은 것일까. 파장이 짧아진다는 것이 광기록 매체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광디스크 장치는 대물렌즈로 초점을 맞춘 레이저 광을 이용해 정보를 디스크 상에 기록하거나 재생한다. 따라서 빛의 초점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