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수학과 생물학이 만났다! 하늘의 새 빼닮은 비행체 제작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안녕, 나는 새와 비행기에 푹 빠져 있는 하늘이야. 아주 어릴 적엔 새처럼 하늘을 날고 싶다는 순수한 꿈을 꿨어. 지금은 새를 닮은 무인 비행체를 만드는 게 목표야! 수리생물학의 도움을 받아 꿈을 현실로 만들려고 해. 새처럼 자유롭게 나는 비행체라니 정말 멋지지 않니? ▼ 이어지는 기사를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학부에서는 기계 공학을 전공하고, 동물학에서 석사 학위를, 항공우주공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어요. 석사 시절 우연히 갈매기의 날개를 연구하다가 새의 비행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해요. 하비 교수에게 이번 연구에서 수학의 중요성을 묻자, “수학은 제 모든 연구의 근본적인 도구”라며, ... ...
- [수학 뉴스] 수학자 박진영 교수 ‘실리콘밸리의 노벨상’ 수상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이란 수학자 故 마리암 미르자하니를 기리기 위해 2019년 처음 생겼어요. 최근 2년 이내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중요한결과를 낸 여성 수학자에게 상과 함께 50,000달러(약 7165만 원)의 상금을 줍니다.미국 실리콘밸리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브레이크스루상은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세르게이 브린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수십 년 전에 이론적으로 제안됐으나, 당시에는 이 기술을 이용할 분야가 없었죠. 제가 박사학위를 받을 때쯤 다시 이 기술이 수면 위로 올라왔고, 바이오 분야에 적용하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토모큐브 현미경 덕에 새로운 관찰이 가능해졌다. 세포 소기관의 상변이가 ... ...
- 실험실에서 태어나는 아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한때는 상상일 뿐이었습니다. 1818년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주인공이 실험실에서 만들어지고 1932년 소설 ‘멋진 신세계’에서 아기들이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것처럼, 생명을 만드는 일 말입니다.하지만 이젠 현실에서도 가능합니다. 올해 7월, 니콜라 리브론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 ... ...
- [논문탐독] 생태 다양성 숨어있는 알 껍질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쉽게 발견하기 어려워 그 모습을 상상하기 어렵지만, 새의 알은 색상과 무늬가 천차만별입니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치의 알은 청회색 바탕에 작고 어두운 반점 무늬가 있습니 다. 물가에서 자주 보이는 괭이갈매기의 알은 올리브색 바탕에 검은색에 가까운 반점 무늬가 있습니다. 비둘기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2화. 수학과와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제 옥스퍼드대 재학시절은 메이나드 교수와 겹치는데요. 심지어 메이나드 교수의 박사 지도교수님이신 로저 히스-브라운 교수님은 제 석사 논문 지도교수님이십니다. 연구 분야가 어느 정도 겹치다 보니 종종 밥도 같이 먹고, 학술 행사에도 같이 참여했었습니다. 2013년에는 당시 옥스퍼드대 재직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최고 수학자와 미국 미시간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이 매달 1일 폴리매스 홈페이지 [폴리매스]-[대한수학회]와 [슬기로운 수학생활]에 문제를 출제합니다. 폴리매스 문제를 풀 아이디어나 풀이를 댓글로 남겨 보세요.여러 회원이 함께 고민해 풀다 보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는 없을 거예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왼쪽으로 돌려? 오른쪽으로 돌려? 데굴데굴 구슬 미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구슬 미로, 어떻게 만들까? 다음 실험 예고블루투스 스피커6월 15일 자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에서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만들 거예요. 스피커로 원하는 음악을 신나게 즐겨 보세요!•신청 기간 2022년 6월 15일까지•당첨자 발표 2022년 6월 16일 예정•신청 방법 어과수 홈페이지(kids ...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카를로 파가노 캐나다 컨커디어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피터 코이만스 미국 미시간대학교 박사후연구원은 ‘스티븐하겐 추측’을 증명해 논문 사전 등록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발표했어요. 오랫동안 음의 펠의 방정식은 펠의 방정식과 달리 정수해를 찾는 방법을 알아내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1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