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밀생
굵음
두꺼움
충만
혼잡
짙음
깊음
d라이브러리
"
밀집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와 같이 연안의 양식장이
밀집
한 지역에서는 유출된 기름이 연안을 덮치게 되던 수십억원 이상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특히 개펄이나 습지는 오염에 민감한 어린생물들의 서식처이기 때문에 기름에 의한 피해는 눈에 ... ...
3.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빈 공간이 없도록 몰아서 저장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파일이
밀집
되므로 보다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후에 저장될 파일이 분산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또 같은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을 하드디스크의 한곳에 모아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소프트웨어를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내에서도 입자들의 분포는 동일하지 않다. 모혜성에 가까울수록 이 먼지들은 더욱
밀집
되어 있기 마련이다. 결과적으로 모혜성이 지구를 방문하는 전후에 그 해당 유성우 또한 매우 활발해진다.페르세우스 유성우와 스위프트-터털 혜성7월 말에서 8월 중순에 걸쳐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는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의 후예들이다. 인구는 대체로 도시에 몰려 있고 특히 오클랜드시 지역에는 약 1백만이
밀집
해 살고 있다. 뉴질랜드는 조용하며 전원적이고, 평화로운 나라로 평가되고 있다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10인치 반사망원경을 가지고 이 성단을 보았을 때에는 시야에 꽉 차 있는 별들중 중심에
밀집
되어 있는 성단 중심부가 집게벌레 모양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메시아는 1764년 9월 25일의 기록에서 이 성단이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고 성운기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반면 보데는 1774년 "몇몇의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선보이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허블의 발견은 우주가 어떤 시점에 아주 작은 공간에
밀집
해 있다가 팽창했으리라는 것을 암시했다.프리드만(러시아 물리학자)과 르메트리(벨기에 목사)는 각각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을 이용하여 팽창우주의 진화를 기술하려 했다. 우주론의 전개과정에는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불린다.그 강렬한 핵은 분명히 별은 아니다. 별은 에너지의 대부분을 가시광선 영역에
밀집
된 협소한 파장대에서 발산한다. 반면에 은하핵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전 영역-전파에서부터 감마선까지-에 걸쳐 강한 복사를 낸다. 예를 들어 시그너스 A라 불리는 은하는 핵에서 X선 복사를 내며,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5천2백만 광년 멀리있는 처녀자리 성단내에 있는 M87 은하계의 중심으로 초
밀집
된 형태의 별들이 끌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부분의 타원형 은하계는 초질량의 블랙홀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타원형이 만들어진 것이 꽤나 난폭한 춤을 춘 두개의 나선형 은하계의 충돌에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깊이 7백m나 되며, 면적은 2백56㎢에 이른다. 이곳은 아프리카에서 사자들이 가장 많이
밀집
해 사는 사자들의 집단서식처다.이곳 사자들은 분화구에 갇혀 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근친번식을 한다. 따라서 번식이 현저하게 감소됐으며 동시에 살아남은 새끼의 수도 크게 줄어들고 있다.다른 곳의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소개한다.관개수를 이용한 벼농사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인구
밀집
지역에서 이뤄진다. 이 지역의 과학자와 정부 정책 입안자들이 당면한 몇가지 문제점은 첫째 수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둘째 과학기술적 생산능력과 농민이 생산하는 능력과의 차이가 적고, 셋째 집약적인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