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감도"(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매일 5만5000개가 넘는 새로운 악성코드가 인터넷 에 뿌려진다. 컴퓨터 앞에 앉아서 수시로 백신을 업데 이트 해도 모든 악성코드를 막을 수 없다. 초보적인 악 성코드는 쉽게 대응할 수 있지만 일류 해커가 마음먹 고 짠 악성코드는 분석가가 직접 붙어서 하나씩 코드 를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는 악 ...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한국은 ‘패딩 천국’이다. 유행에 민감한 고교생뿐만 아니라 직장인도 남녀 가리지 않고 코트나 재킷 위에 패딩을 입고 출근한다. 백화점에서는 수백 만원이 넘는 명품 패딩을 재고가 없어서 못판다.한국 겨울 날씨에 두꺼운 패딩 필요없다패딩을 입을 정도로 한국이 정말로 추운 것은 아닐까. 러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청소년 5명 중 1명 “굶는 다이어트 경험”지난해 중·고등학교 청소년 8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30일 동안 단식이나 식사 후 구토 등의 경험이 있는가’ 하는 질문에 남학생은 12.9%, 여학생은 21.2%가 그렇다고 답했다(2013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중·고등학생 10명 중 1~2명은 이미 극 ... ...
- PART 5. 중력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나온 중력파를 관측할 능력은 갖췄지만, 100년에 4개 정도 찾는 수준이었다. 이 민감도를 10배 높이면 관측범위는 1000배나 늘어난다. 2015년 초 문을 여는 ‘어드밴스드 라이고’가 안정화되는 2020년경이면 중성자별 중력파를 1년에 0.4~400개나 찾을 수 있게 된다.빅뱅 직후의 우주를 보다중력파 검출은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문을 들어서자 정돈이 잘 된 작은 진료실이 눈에 들어왔다. 그런데 그곳에서 나를 맞이하고 있던 것에 흠칫 놀랐다. 하우스 박사가 매서운 눈으로 나를 노려보고 있었다!“아니, 킴선. 얼굴이 피곤해 보이네? 설마 아직 적응을 못했나?”하우스 박사는 내 이름 김선홍을 늘 헷갈려 짧게 두 글자로 킴 ... ...
- 공룡 시대 가장 큰 포유류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4년 전 아프리카 인도양에 있는 마다가스카르 섬에서 거대한 쥐처럼 생긴 화석이 발견됐어요. 이 화석에게는 ‘빈타나 세르티치’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빈타나는 ‘행운’을 뜻하고 세르치티는 화석을 찾은 대학원생의 이름이지요. 최근, 이 화석의 주인이 약 7000만 년 전 공룡과 함께 살았던 초창 ...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잠자리는 가장 비행을 잘하는 곤충 중 하나예요.제자리에서 정지비행을 하기도 하고, 뒤로도 날 수 있어요.커다란 눈을 가지고 있어서 시력도 좋아요. 그래서 곤충 중에서 뛰어난 시각포식자로 손꼽힌답니다.그런데 가끔 두 마리가 딱 달라붙어서 날아다니는 쌍잠자리도 볼 수 있어요. 왜 두 마리가 ...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무서운 것을 즐기게 되는 여름이 왔어. 그래서 여기 무서운 것들을 준비했지. 자, 여기 깊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와 뾰족한 바늘 그리고 단추까지 준비했다! 엥? 이게 뭐가 무섭냐고? 이 녀석들을 얕봐선 안 돼! 이것들은 모두 ‘공포증’을 일으키는 녀석들이라고. 난 이 중에서 단추가 너무너무 무 ... ...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자연에 가장 잘 적응했다고 평가를 받는 곤충의 얼굴을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 어때요? 눈이 사람과 매우 다르죠? 곤충의 눈은 수많은 홑눈이 모인 겹눈이에요. 나비와 벌, 잠자리, 딱정벌레 같은 곤충은 홑눈이 수백에서 수만 개가 모인 겹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답니다. 곤충은 전 세계에 알려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꿈과 환상을 깨는 이야기지만, 실제로 보는 오로라는 사진만큼 화려하지 않다. 북극해에서 오로라를 직접 본 김봉욱 아라온호 선장은 당시 경험을 이렇게 표현했다.“눈으로 그냥 보면 구름인지,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인지 오로라인지 구분이 안갑니다. 카메라 화면으로 보니 그제서야 그 초록색이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