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룡의 깃털 화석은 몸 색깔을 추정하는 단서도 된다. 깃털에는 수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색소 주머니(멜라닌 소포체)가 있어 색깔을 낸다. 멜라닌 소포체는 길쭉하거나 공처럼 둥글거나 납작해 모양이 다양하다. 이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지고 색깔도 달라진다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는 “현재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장치(MRI)의 해상도는 수백 마이크로미터(μm) 수준”이라며 “뉴런을 관찰하려면 적어도 수 μm 수준으로 고해상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런을 관찰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분화 단계를 거치고 있는지 눈으로는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도 한계다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전자를 잃고 양극이 된(이온화된) 무거운 원자다. 라온은 중이온이라는 구슬을 통해 펨토미터(fm·1fm는 1000조 분의 1m) 수준의 세계를 들여다본다. 나노과학이 분자를 관찰했다면, 펨토과학은 원자의 중심부에 있는 원자핵과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 중성자의 세계를 탐구한다. 원자핵을 보기 ... ...
-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 올 두께보다 작은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와, 이보다 100만 배 더 작은 펨토미터(fm·1fm는 1000조 분의 1m)의 세계를 보여주는 최첨단 ‘현미경’이기도 하다.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2021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에 들어갔다. 빅뱅 3분 뒤의 우주를 재현하고, 한국의 이름을 붙인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겁니다. 이유가 뭘까요? 보통 위치를 설명할 때 ‘◯ ◯ 왼쪽에 있다’, ‘◯ ◯에서 몇 미터 떨어져 있어’라고 표현하는데, ‘왼쪽’이나 ‘떨어 져 있다’는 모두 ◯ ◯라는 ‘기준’이 있어야 쓸 수 있기 때문이에요. 마찬가지로 비와 비율도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기준이 되는 양에 비해 ... ...
- [과학뉴스] 달걀껍질, 병아리 나오기 직전 약해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OPN) 단백질을 발견했다. OPN 단백질이 많을수록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껍질의 구멍이 나노미터 크기로 줄어들어 촘촘한 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더 단단하다. 연구팀은 OPN 단백질을 높은 농도(5.9마이크로몰)에서 낮은 농도(0.9마이크로몰)로 조정하면서 이때 달걀껍질의 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높은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역광일 때 라이다의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레이저의 파장은 905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로, 햇빛에서 동일한 파장을 갖는 빛의 에너지는 10μW(마이크로와트·1μW는 100만 분의 1W) 정도다. 연구팀은 빛이 정면으로 들어올 때 물체에 반사돼 돌아오는 레이저의 에너지가 10μW 이상이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백성들이 자유롭게 구입하게 했다. 전통 도량형 토대는 구한말까지 유지되다가 서구의 미터법 체계에 맞춰 재정의됐다. 1902년(고종 39년)정식으로 도량형기의 제조 검정기관인 ‘평식원’이 설치됐고, 서구의 도량형제를 도입한 ‘대한제국 도량형규칙’이 제정됐다. 이 규칙은 1905년 ‘대한제국 ... ...
- 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로서하르더’는 2015년부터 네덜란드 로테르담, 중국 베이징, 폴란드 크라쿠프 지역에 약 7미터 높이의 대형 공기청정기 ‘스모그 프리 타워’를 설치했어요. 스모그 프리 타워는 2층 건물 정도의 높이로, 한시간당 3만㎥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답니다. 이는 가로, 세로, 높이가 31m인 방을 가득 채울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깨알보다 작은 나노로봇’이 있다면 가능하다. 나노로봇은 지름이 약 100μm (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세포보다 훨씬 작 아 혈류를 타고 체내 어디든 도달할 수 있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의료용으로 사용 하려면 조영제나 약물 자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