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평
공명정대
공명
정직
공명정당
공평무사
정직무사
d라이브러리
"
공정
"(으)로 총 1,162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로 원전 연료 만들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제거하는 기술)보다 월등히 효율이 높아 차세대 농축
공정
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이
공정
은 분리 효율이 지나치게 높은 게 오히려 단점이다. 시설을 소형화해 비밀리에 핵무기 재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황일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사일렉스는 원심분리 방식보다도 작게 만들 수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많던 유전 물질의 물성 공부를 위해 대학원에 입학하자마자 선배를 따라다니면서 제조
공정
및 특성 평가 과정 하나하나를 배우고 익혔다.신입생 시절에는 교수님에게 연구지도를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샘플 제조 노하우를 아는 선배의 마음을 얻는 것도 중요하다. 선배가 좋아하는 음식 정도는 훤히 ... ...
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추출해 제조한다. 플라스틱과 기능이 비슷하면서 분해도 일어나는 물질이다. 그러나
공정
이 복잡하고 생산 원가가 높아 상품화가 어렵다. 또한 유전공학을 이용한 미생물의 대량 생산과 분리, 정제 가공 기술 연구가 뒷받침돼야해 상품화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마지막으로 광분해성 플라스틱은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말이 붙은 과학 분야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마이크로
공정
’이라는 말보단, ‘나노
공정
’이라는 말이 더 익숙한 시대다. 그만큼 점점 더 작은 것을 들여다보기 위한 기술의 발달이 중요시되고 있다.“나노의 세계를 가장 먼저 자유자재로 볼 수 있는 국가가 곧 과학기술을 선도하게 될 것이다.”노 ... ...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3D TV 개발을 세계 처음으로 완료했다고 밝힌 LG디스플레이에 따르면 대형 OLED를 만드는
공정
은 쉽지 않다. 현재 10인치 이하 스마트기기에 OLED 화면이 대거 채택됐음에도 아직 대형 OLED TV는 대중화하지 못했다.LG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 화면을 만든 방식은 WRGB OLED다. 적녹청색의 다이오드를 수직으로 ... ...
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조성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위한 ‘기기분석’,
공정
설계법과 제어법을 배우는 ‘
공정
제어’ 등이 있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재료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응용 분야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기 때문에 공학과 기초과학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있어야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소자 재료를 연구하고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그래핀과 가는 선 모양의 탄소나노튜브가 결합한 뒤 스스로 배열되도록 하자 추가
공정
없이도 강력한 섬유 소재를 만들 수 있었다. 이는 더욱 강력한 방탄조끼로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방탄조끼를 입고 전장에 나가거나 대테러 작전에 나서는 군인들은 앞으로 거미를 발견할 때마다 고마워해야 ... ...
과학동아 청소년 정기자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풍성해졌습니다. 그 중 우수한 기사를 성실하게 올린 학생을 정기자로 뽑았습니다.
공정
한 선발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답니다. 물론 쉽지 않은 작업이었죠. 열정과 재능에 감동하기도 했고, 특정 학생만 기사를 올리는 쏠림 현상 때문에 아쉽기도 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선발 인원은 당초 예상보다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끝나도 그 두께는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이하다. 종이에 잉크를 칠한 것이
공정
의 전부이기 때문에 무게도 가볍다. 이런 성질 때문에 외부에서는 유기물 태양전지를 가방이나 옷에 붙여 외부에서도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고안하고 있다.히거 교수팀은 미국에서 발전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말이 유행했지만 반도체 기술자들은 나노
공정
에 진입하며 그 한계를 뛰어넘었다. 22나노
공정
이라는 막다른 길에 도달하자 설계 구조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3D 트랜지스터 다음은 무엇일까. 어떤 구조가 등장할지, 아예 반도체 물질을 바꿀지 지금으로선 예상하기 어렵다. 분명한 것은 반도체 행성의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