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
한천
동계
동기
동절
d라이브러리
"
겨울철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고온다습한 해양성고기압 영구적으로 존재하며 그 중심위치는 여름철에 약간 북상하고,
겨울철
에 약간 남하한다 우리나라에는 장마가 끝난 뒤 여름철에 영향을 미친다지질시대에 있어 약 1억 4천만년∼6천 5백만년 전의 중생대 말기시대서보시스팀은 물체의 위치·방위·자세 등의 변위를 제어량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0월의 새벽이 되면 추위와 함께 한겨울의 별자리들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새벽이 되면 한
겨울철
별자리들이 남쪽하늘 중앙에 올라온다. 10월 22일에는 겨울의 왕자인 오리온자리에서 유성들이 쏟아진다.오리온자리 유성우는 유명한 핼리혜성을 그 모혜성으로 하고 있다. 즉 핼리혜성에서 떨어져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블라디보스토크 남동부 해역에서 형성된다. 이 해역의 육지 방향은 산맥이 끊어져 있어,
겨울철
블라디보스토크 부근으로부터 강한 북서계절풍이 불어 들어와 해면을 차갑게 한다.차가워져 비중이 높아진 해수는 가라앉기 때문에 이 해역에서 아래와 위에 존재하는 물이 섞이는 연직대류가 생긴다.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때 받는 충격보다 적은 에너지를 만들지만 이 힘이 모이면 우주선을 추진할 수 있다.
겨울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서 오리온자리 바로 밑 토끼자리 아래였다 노아의 방주에서 날아갔다가 감람나무 잎사귀를 물고 돌아온 비둘기 형상에 비유하며 동쪽에 인접한 아르고자리(현재는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실시하면 원하는 강수량만큼 얻기 어렵다. 오히려 인공강우법으로 수자원을 확보하려면
겨울철
산에 눈을 내려 봄철에 녹게 하거나 연중 적절한 구름이 지나갈 때마다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현재 기술발전의 추세로 본다면 2020년 정도에는 우리나라에도 인공강우가 보편화될 수 있을 것으로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중국인들은 얼음창고를 이용했으며, 로마나 그리스에서도
겨울철
의 눈을 모아 벽 사이에 넣어 빙고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지증왕 시절인 505년에 음식물을 저장했던 석빙실의 유적이 현재 경주에 남아 있다.하지만 인류가 본격적으로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보존된 냉기가 낮 최고기온이 25℃가 넘어서는 봄철을 이겨내지는 못한다고 반박한다.
겨울철
암석에 보존된 냉기는 바깥 온도가 30℃ 정도면 하루만에 모두 배출될 수 있다고 한다.그는 여름까지 냉기가 지속되는 이유는 ‘땅이 숨을 쉬기 때문’이라고 표현했다. 땅이 숨쉰다는 말은 봄철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위한 특별한 장치를 갖고 있다. 개구리는 몸 속에 정교한 ‘부동액 체계’를 갖췄다.
겨울철
자동차에 부동액을 넣듯이 동면에 들어가기 전 먹이를 많이 먹어둠으로써 포도당(글루코오스)을 혈액 속에 다량 넣는다. 세포의 어는점을 낮추기 위해서다.사람이라면 혈액 속의 포도당이 2배만 돼도 ... ...
영국경찰이 무장하기 시작한 전기총격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耐光性)이 약한 점 등의 결점이 있으나 근년에 플라스틱으로서의 용도가 급증하고 있다
겨울철
에서 봄철에 걸쳐 남쪽 지평선 가까이 보이는 별자리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천(南天)을 관측한 B A 굴드가 나침반자리를 제창, 1922년 국제천문연합회에서 채용되었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 ...
꽃 피게 만드는 유전자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FLC와 FT 유전자의 발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따라서광주기, 온도,
겨울철
저온 등의 모든 환경요인이 결국 FT, AGL20, LFY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것이 계절에 따라 식물이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