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초상
인물화
인간
인격
캐릭터
모양
d라이브러리
"
인물
"(으)로 총 1,00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05
깔끔하지만 등장
인물
의 성격이 평면적이라는 평을 받았다. 이에 자극을 받아 복합적인
인물
을 그려내려고 노력 중이다. 현재 시나리오를 공부하는 후배와 함께 갈등을 많이 넣은 미스터리소설 ‘홀리 바이블’을 집필하고 있다. 소설 덕분에 탄생한 양자블랙홀 논문공교롭게도 그는 소설을 쓰다가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04
개발되고 초음파 수정체 유화술이 도입된 뒤 ‘심봉사’는 동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인물
이 됐다. 이렇듯 이미 우리는 시력을 강화한 바이오닉맨에 한 발짝 다가가 있다.시력이 나빠지다 못해 상실될 위험에 처한 환자들도 ‘희망의 빛’을 볼 수 있게 됐다. 현대 과학자들은 ‘마지막 철옹성’인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04
SF영화 ‘코드명J’의 한 장면이다. 주인공 조니는 기억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린 미래
인물
이다. 한림대 의대 신형철 교수는 “조니가 머리에 심은 실리콘 칩은 인공 뉴런으로 만든 회로일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인공 뉴런 칩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뉴런을 집적하거나 뉴런의 작동 메커니즘을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3
일으킬지 모른다.사실 ‘무방비 도시’에는 우리 눈에 낯설지 않은 질병을 앓고 있는
인물
들이 등장한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한번쯤은 접해봤을 법한 당뇨병과 간질병이다. 왜 이런 병들은 영화에 자주 등장할까. 각설탕과 저혈당영화 초반, 소매치기 전과 17범으로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최고의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03
이들 부부의 그림을 비교해보면 비로소 차이점이 드러난다. 모딜리아니가 그린 초상이
인물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배경을 단순화시켰다면 잔의 작품은 대상을 둘러싼 배경까지도 섬세하게 묘사했다. 덕분에 패션과 주변 소품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까지 짐작할 수 있다. 열여섯의 나이에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03
영화나 드라마뿐 아니라 생생한 역사에서도 좋은 멘토와의 만남으로 훌륭하게 성장한
인물
을 만날 수 있다. 최초의 여성 수학박사 소냐의 두 남자6살이 되도록 손으로 음식을 집어 먹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닥치는 대로 주위 물건을 집어던지는 야수 같은 아이가 있었다. 태어난 지 19개월 되던 때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02
남긴 수필집 ‘도연초’(徒然草)의 한 구절이다. 최근 행복에 대한 연구는 700년 전
인물
인 켄코가 행복을 유지하는 비밀 가운데 하나를 알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행복을 가져다주는 사건이 ‘쾌락적응’의 덫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충분한 시간을 두고 반복하라는 것이다.하버드대 길버트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02
경험을 이용해 추론하는데, 공연에 등장하는 배우들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볼 수 없는
인물
이므로 ‘요정이니까 날아오르겠지’라고 받아들인다.물체를 이루는 윤곽선 없이도 그 물체가 무엇인지 추측할 수 있는 까닭은 인간의 뛰어난 시각적 능력 덕분이다. 글자의 그림자만 단서로 주어져도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02
질병과 관련된 흥미로운 스토리에 푹 빠져버렸다.그의 상상력을 가장 크게 자극한
인물
은 칼턴 가이두섹 박사. 슬로바키아 이민 2세인 그는 대학에서 수학, 물리학, 화학을 섭렵한 뒤 하버드대 의대에 진학했다. 졸업 후 20세기 최고의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의 실험실을 포함해 여러 곳을 방랑하던 ... ...
안개 속에 감춰진 공포의 진실 미스트
과학동아
l
200802
빠진 데이비드는 결국 탄창에 네 발의 총알을 장전하는데….영화는 마지막 순간까지 등장
인물
들을 최악의 상황으로 내몬다. 하지만“오늘은 어제 죽은 사람이 그토록 보고 싶어 하던 내일이었다”는 말처럼 삶을 스스로 저버리는 일은 어제 죽은 사람에 대한 죄악이 아닐까. 결코 걷힐 것 같지 않던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