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뉴스
"
특정
"(으)로 총 5,428건 검색되었습니다.
층수까지 알려주는 실내 위치 인식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층수가지는 구분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 교수팀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불
특정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수집한 와이파이 등의 무선신호를 건물 별로 분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먼저 인공지능(AI)를 이용해 스마트폰이 수집한 무선신호의 수집 위치를 분류했다. 이 과정에서는 스마트폰에 ... ...
체내 원하는 곳 콕 집어 줄기세포 운반하는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굵기 정도다. 이른바 ‘회전 자기장’을 통해 줄기세포를 생체 내에서 이동시켜
특정
부위에 착상,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이상적인 시스템이다. 3D 레이저로 인쇄조립하는 방식으로 설계됐으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선형 코일을 통해 회전 자기장을 유도, 이 자기장이 프로펠러처럼 돌며 ... ...
"담배 규제 꼭 필요하지만 다시 일반담배로 돌아가는 건 잘못된 생각"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타르는 단순히 담배 연기에서 니코틴과 수분을 제외한 잔여물의 단순 무게 개념으로,
특정
성분의 유해성에 대한 분석이 아니다”며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2015년 ‘담배제품 규제의 과학적 근거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타르 측정이나 수치는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가져올 뿐 타르 무게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를 만드는 것보다는 폐암과 유방암 같은
특정
질환에 초점을 둬서 개발하고 있다. 지금은 영상 데이터 기반으로 AI를 개발하고 있는데, 유전체 데이터와 의무기록 데이터 등을 활용해 포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싶다. -의료용 AI가 꽤 정확한 ... ...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06.02
밝히는 게 가능할까. 조 교수팀이 100명의 확산텐서영상 자료에서 1억 개의 신경세포를
특정
한 뒤, 이들을 온전히 작동시키는 최소지배집합을 찾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약 1년 4개월이다. 60개의 중앙처리장치(CPU)와 128GB(기가바이트)의 메모리를 각각 장착한 서버 5대로 분석한 결과였다. 조 교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미생물의 바다 '마이크로바이옴'
동아사이언스
l
2019.06.01
157명의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등
특정
세균이 과다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임신 초기에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면 조기분만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제5회 과기장관회의]다부처·인력양성 사업별 맞춤형 예타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정부가 과학 분야 연구개발(R&D)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보다 전문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사업 유형에 따른 맞춤형 조사기법 개발을 추진 ... 사업의 필요성과 추진 논리성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기초연구나 인력양성 등 기술을
특정
하기 어려워 추진하기 어려웠던 예타가 수월해졌다. ... ...
IEEE 화웨이 논문심사 배제는 불가피한 선택 "美 정부지침 따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말했다. EAR 규정 준수에 의거 중국 화웨이 소속 과학자와 엔지니어가 공개되지 않은
특정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제한한다면서도 IEEE 회원이라면 누구나 IEEE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IEEE는 "출판물 검토 및 편집 프로세스에 화웨이 소속은 EAR 규정에 의거 참여할 수 없지만 ... ...
올챙이 꼬리 '이것'덕분에 재생
과학동아
l
2019.05.31
확인했다. 꼬리 손상이 일어나면 ROC가 손상된 부위에 재배치되면서 회복에 관여하는
특정
물질을 분비해 재생을 유도한다. 벤자민 시몬스 케임브리지대 응용수학및이론물리학과 교수는 “일부 동물의 재생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향후 인간을 포함한 다른 포유류의 유사한 기작을 이해하는 첫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유전체는 노화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점돌연변이가 쌓이는데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특정
구조 변이의 발생 시점을 추정하는 기술을 개발해 이를 검증했다. 연구팀은 흡연과 무관한 폐암에서 융합유전자에 의해 폐암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 KAIST 제공 어린 나이에는 흡연을 하지 않기 때문에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