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의학을 달린다]1개월 이상 원인모를 복통-설사 계속땐 크론병 의심을
동아일보
l
2016.04.20
아니라 증상을 완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다. 치료는 항염증제나 스테로이드, 면역
조절
제와 같은 다양한 약물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종양괴사인자(TNF)의 과도한 작용을 차단하는 항TNF제제와 같은 생물학적 치료제가 많이 사용된다. 생물학적 제제는 염증 완화뿐 아니라 다른 약제에 비해 점막 치유 ... ...
[첨단의학을 달린다]로봇 수술·생체흡수형 스텐트… 의술, 과학옷 입고 환자 곁으로
동아일보
l
2016.04.20
속도도 단축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암병원은 방사선의 세기를
조절
할 수 있는 로보틱 IMART를 도입해 주목을 받고 있다. 치료 중 실시간으로 종양의 위치를 추적해 방사선을 집중적으로 쏘기 때문에 안전성과 수술 효과 모두 우수하다는 평가다. 맞춤형 치료도 대중화 ... ...
소 배앓이 보며 가슴앓이… 먹이 만들어 月 3000만원 매출
동아일보
l
2016.04.19
섞이지 않도록 남들보다 신경을 많이 쓴다. 트랙터 갈퀴가 볏짚만 긁을 수 있게 높이를
조절
하고 작업 속도도 늦췄다. 또 논의 사각 모퉁이 부분에 있는 볏짚은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예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지 않았다. 그렇게 정성을 쏟아 만든 그의 짚은 시세보다 덩이당 5000원가량 비싸다. ... ...
우리 몸속 ‘골키퍼’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다
2016.04.17
사이언스 제공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구멍을 가진 생체물질의 비밀이 풀렸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핵막공복합체(Nuclear Pore ... 밝혀졌다”며 “다음 단계는 이 기공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며 분자의 흐름을
조절
하는지 그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RC카’ 조종하듯 세포 소기관 조종하는 기술 개발
2016.04.17
세포 소기관들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허 교수는 “세포의 성장을
조절
할 수 있게 된 만큼 암 세포의 성장을 막거나 신경세포의 성장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연구의 토대가 됐다”며 “특히 뇌 신경세포 내 소기관의 이동을 조종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억과 학습과 관련된 연구 ... ...
깜빡하는 건망증, 혹시 치매일까
2016.04.15
생각에 몰두하고 있을 때 기억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감당할 수 있는 기억의 양을 적당히
조절
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중요한 내용들은 스마트폰의 메모 기능을 이용해 기록한다면 기억의 부담을 덜 수 있겠죠. 또 건망증은 감정적인 부분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요. 싫어하는 사람, 무서워하는 사람이 ... ...
‘살찌는 체질’ 결정하는 유전자 찾았다
2016.04.15
비만이 유도되는 과정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유전자 발현으로 지방세포의 수를
조절
해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
당신이 5분마다 한숨을 쉬는 이유
과학동아
l
2016.04.11
더 이상 쉬지 않았다. 연구팀은 프리보트징거 복합체가 호흡의 속도뿐 아니라 유형도
조절
하는 것이라고 추측했다. 크라스노우 교수는 “프리보트징거 복합체는 사람의 뇌에서도 발견된다”며 “폐나 호흡장애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온라인판 2월 ... ...
일산화탄소 먹고 수소 뱉어내는 심해 고세균
2016.04.11
빨라졌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NA1 유전체 분석을 통해 성장 속도에 영향을 주는
조절
유전자 ‘1525’를 규명하고, 이를 적용한 균주 ‘156T’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56T를 응용하면 산업 활동의 결과물로 생겨나는 유해가스 속 일산화탄소를 유용한 수소 연료로 탈바꿈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 ...
생존률 36.8%, 유방암 전이 일으키는 범인 찾았다
2016.04.11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한영훈 한국원자력의학원 책임연구원 팀은 세포내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하는 마이크로RNA(miRNA) 중 하나인 ‘miR-5003-3p’가 암을 전이시키는 새로운 기전을 찾아냈다고 11일 밝혔다. 암 치료가 어려운 것은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데다, 전이가 일어날 경우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