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아빠 소가 드디어 유전능력이 보증된 명예로운(?) 씨수소가 된다.이런 과정을 통해 한국에서 크는 소들은 18개월령 몸무게가 2000년부터 매년 평균 7.4kg씩 늘었다. 돼지(두록 종)는 90kg이 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2005년부터 매년 0.9일씩 단축됐고, 젖소는 개체당 연간 우유 생산량이 1996년부터 매년 11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전에는 흔히 지진의 전조 증상이라고 말하는 모든 현상이 교과서처럼 나타났어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의 신진수 책임연구원은 하이청 지진이 마치 지진에 대한 과학책을 보고 순서대로 실험한 것처럼 전조 증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어요. 실제로 큰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는 다양한 ...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뇌과학이 발전하는 데는 측정 장비의 역할이 컸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뇌 세포의 시냅스는 각각 20n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런 뇌의 활동을 보기 위해서는 장비가 정밀할수록 유리하다.미국 브라운대 이준희 연구원과 서울대 송윤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광유전학기술을 이용해 정확도를 획기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성찰의 계기가 됐다. 네팔을 떠나기 전, 한국에 12년 동안 살았던 라케스 다말라 대표는 한국 봉사단 학생들에게 의미심장한 말을 던졌다.“우린 비록 힘들고 어렵게 살지만 누구도 불행하지 않습니다. 누구도 가난하다고 자살하지 않지요. 우리가 여러분에게 배우는 것처럼, 여러분도 우리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번 노벨 화학상은 세포 내 DNA 복구 메커니즘을 밝힌 과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다. 토마스 린달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명예교수, 폴 모드리치 미국 듀크대 의대 생화학부 교수, 아지즈 산자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생화학 및 생물리학과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인간의 DNA는 자외선이나 각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손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13% 미만으로 매우 낮다. ‘미생물 수사’ 시대 다가올까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모았던 영국 드라마 ‘셜록’에서는 신발 밑창에 묻은 진흙에 섞여 있는 꽃가루만으로 신발 주인이 어느 지역에서 왔는지 추리해내는 장면이 나온다. 흥미롭게도 국제학술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국에 대해 좋은 인상을 받고 돌아간다면 장차 한국의 국제교류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 학생들도 과학을 매개체로 다양한 문화와 생각을 가진 또래 친구들을 만나 시야를 넓히길 바란다.Q. 올림피아드가 선행학습이나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부정적인 시선이 있는데IJSO는 단기간의 사교육으로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때문이다.최근 이용복 서울교대 명예교수와 이용삼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전준혁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등은 칠정산외편의 별 목록표와 알마게스트를 비교 분석해 칠정산외편의 별 목록표가 알마게스트를 포함한 2~3개의 목록을 편집해 만든 것이라고 추정하는 연구 결과를 영국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진동변환 발견을 통해 카지타 교수는 θ23, 맥도널드 교수는 θ12의 변환 세기를 측정했다.한국에서도 이 변환 세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필자는 이 중에서 가장 약한 변환 세기인 θ13를 측정해내고자 2006년부터 영광 원자력발전소 부근에 중성미자 검출시설을 만들기 시작했고, 2011년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여러 기관이 있죠.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대한석탄공사 같은 공기업도 있습니다. 대우 인터내셔널이나 LG상사, SK네트웍스 같은 사기업도 많고요.정용권 마지막으로 에너지자원공학과에 잘 맞을 것 같은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정은혜 이쪽 분야에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