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과학동아 l2008년 06호
- 개인의 체질에 맞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개인별 맞춤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인간은 누구나 23쌍의 염색체를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중 17%는 왼손잡이이며, 14%는 절대음감을 갖고 있고, 13%는 하지불안증후군에 시달리며, 22%는 젖당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없어 우유만 ...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뚝 떨어지며 그대로 골대 안으로 빨려 들어갔다. 이 슛은 지난 5월 14일 영국 스포츠 전문채널인 스카이스포츠가 실시한 ‘시즌 최고의 골’을 가리는 투표에서 37.4%의 지지를 얻어 1위에 올랐다. 호날두의 무회전 슛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 UFO 슛 vs. 무회전 슛축구에서 무회전 슛이 등장하기 ...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6호
- 피를 받은 사람들이 병에 걸릴 수 있다. 실제로 영국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다.2004년 의학전문지 ‘랜싯’에 두 사례가 보고됐는데 한 사람은 수혈을 받고 6년이 지나 발병해 13개월 뒤 죽었고 한 사람은 5년 뒤 다른 병으로 죽었는데 부검 결과 인간 광우병 증세가 발견됐다. 두 사람 다 vCJD가 발병하기 ...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과학동아 l2008년 06호
- 포도밭 토양의 배수성이 와인의 맛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해 1월 13일 식품분야 전문저널인 ‘농업과 식품과학’에 발표했다. 그는 ‘붉은 그르나슈’라는 포도품종을 키우는 스페인의 두 포도농장에서 2004년부터 2년 연속 포도를 수확했다.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와인을 제조한 뒤 특징을 ... ...
- 여드름 치료제, 폐 조직 손상 막는다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사진)가 폐조직의 손상을 막고 일부 폐조직을 재생시키기도 한다는 연구결과를 의학전문지 ‘세포생화학저널’(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건강한 폐조직을 유지하려면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라는 인체 내 단백질이 꼭 필요하다. 폐에서 VEGF가 늘면 새로운 혈관도 많이 ...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종간을 뛰어넘는 질병은 사전예방원칙에 따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AI로 죽은 사람은 300명도 안 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 세계적으로 방역하고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수백만 마리의 닭과 오리를 살처분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라.광우병의 역사1985 : 영국 ...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학동아 l2008년 05호
- 두뇌집단이다기술자·수학자·물리학자·프로그래머·기상학자·OR(operation research) 전문가·경제학자·역사학자·심리학자·사회학자 등 폭넓은 분야의 스태프를 갖추고 국제문제·군사계획·국내문제의 기초연구를 하고 있다58년에 쏘아올린 제1호 인공위성의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했다1947년 W E 램과 R ...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과학동아 l2008년 05호
- 나라의 어떤 용재수 못지않게 강한 목재인 셈이다. 숭례문 복원에 큰 소나무 17그루 필요전문가들이 추정한 숭례문 복원에 필요한 나무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상층의 기둥용 목재로 지름 60cm, 길이 3.1m짜리 5개, 대들보용 목재로 지름 68cm, 길이 5m짜리 목재 10개, 창방(기둥을 가로로 연결시켜주는 ...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이 해설논문의 저자 이화여대 이서구 석좌교수의 설명이다. 해설논문이란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그 분야의 연구 현황이나 전망을 소개하는 글이다. 따라서 H₂O₂가 꼭 나쁜 물질만은 아니라는 걸 입증하는데 이 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200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희섭 ...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물리학을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는 차세대 컴퓨터다. 그가 장편소설을 발표하고 전문작가상에 도전했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갑자기 그의 전공이 의심스럽다.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그는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양자전자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IBM 슨연구소에 재직하다 1996년 서울시립대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