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앞바다는 바로 부두가 있어서 깊은 편이야. 하지만 물이 쫙 빠지는 썰물 때는
작은
게를 잡거나 조개를 캘 수 있을 정도로 자갈밭이 드러난단다. 이 때는 돌에 달라붙은 굴과 조개를 캘 수도 있고, 돌 밑에 숨은 게도 잡을 수 있지. 어떤 간 큰 게는 천문대가 있는 학교 안으로 들어와 적당한 돌 밑에서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작아 자극을 줄인다. 침 다발을 감싸고 있는 ‘아랫 입술’은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침이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모기 침 끝의 두께는 불과 80μm(마이크로미터). 머리카락 두께와 비슷하다. 침은 부드러운 키틴질로 되어 있어 세포에 상처를 내지 않는다. 피를 빨아올리는 ... ...
모모와 요괴들의 수상한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친구 '모모' 내 이름은 모모. 아빠가 바다에서 돌아가신 뒤 ‘완전 소심’해진 소녀야.
작은
섬으로 이사 와서 새 친구를 사귀는 것도, 바닷물에 즐겁게 풍덩 빠지는 것도 할 수가 없었지. 하지만 우스꽝스럽게 생긴 세 친구를 만나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엄마와 열심히 살아갈 용기를 얻었단다.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쉬운 조건이 세 가지 있어. 첫째는 생물의 분포지역이 좁은 경우, 둘째는 개체군 크기가
작은
경우, 셋째는 개체군들이 고립되는 경우야. 그런데 수원청개구리는 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어서 매우 위급한 상황이야.모기와 바퀴가 멸종되길 바라니?설문에 참여한 독자 중 절반에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담겨 있다.노랑나비가 물방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의아해 하는 건 아닐까.
작은
물방울들은 마치 굴절된 빛을 담은 렌즈처럼 빛난다. 비오는 밤, 검은 망토검은 망토를 두른 사나이들이 형형색색 불빛이 빛나는 도시를 습격하고 있다. 연꽃 밭으로 날아든 제비나비를 조명을 이용해 ... ...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수 있도록 작아졌다는 거죠.나도 작아져서 몰래 나쁜 짓을 해 볼까?우리가 지금처럼
작은
잠자리 크기로 진화하는 데에는 수천만 년이 걸렸어요. 사람이 작게 진화하려면 아마 그보다 더 긴 시간이 걸릴 거예요. 그리고 닥터 그랜마가 잠자리처럼 작아지면 나쁜 짓을 하기 전에 다른 사람의 발에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천체물리학지’에 발표해 화제가 됐다. 당시 네덜란드 신문(NRC handelsblad)이 “태양의
작은
구멍 발견하다”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지금까지 한 이야기를 정리해 보자. 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수평운동과 수직운동이 새끼흑점의 성장과 쇠퇴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새끼흑점의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투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른 요소를 고려하자 차이는 1%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작은
차이라도 투표 결과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무시할 수는 없다.이어서 위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상의 투표 환경을 만들어 실험했다. 참가자는 학교, 사무실 등 서로 다른 장소를 찍은 사진을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원난의 지붕은 태양을 향해 웃는다윈난 지역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크고
작은
건물 지붕마다 자리 잡은 태양열 기기다. 지붕마다 빼곡하게 올라가 있으며, 길가 광고판에도 태양열 기기를 광고하는 것이 쉽게 눈에 띄었다. 이곳은 태양 남중고도가 높아 태양열 효율이 높기 때문이란다. 이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있어 알갱이 사이에 들어 있는 가스를 추출했다.셰일 가스는 사암보다 알갱이가
작은
셰일 안에 들어 있는 천연가스다. 점토가 퇴적된 암석이기 때문에 알갱이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셰일 가스는 ‘수압파쇄법’이라는 채굴 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 양은 많지만 사용할 수 없는 자원으로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