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d라이브러리
"
우선
"(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젠 환자의 월경주기가 파악돼야 한다.그러나 일반적으로 낮과 밤의 변화는 중요하다.
우선
미국에만도 8백만명에 이르는 야간근로자의 처지를 생각해 보자. 수면과 감정이상 연구소(오레곤주 포틀랜드시에 위치한 오레곤 건강과학대학 소재)의 1992년 10월 보고서 하나에 따르면 야간근로자의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성도 있고 이름도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파일도 성과 이름 두가지 요소로 되어 있다.
우선
파일이름 앞에는 파일명을 적고 마침표(.)를 찍은 다음 확장자 이름을 쓰는데 파일명은 보통 파일마다 고유한 이름과 같은 것이다. 반면 확장자는 성과 같다. 확장자는 그 파일의 종류를 나타낸다.그래서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신호제어방식은 신호시간이 현장의 교통상황에 정교하게 대응하기에는 미흡하다.
우선
교차로마다 발생하는 다양한 교통상황을 15개의 패턴으로 충분히 대처하기 어렵다. 그리고 신호시간을 재평가하는 시간 간격이 15분이므로 새로운 신호시간이 실행될 때는 15분 후의 상황에 적용된다는 문제 ... ...
황금을 만드는 세균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사금은 지질작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세균이 자신의 몸 주위에 금용액을 모은 결과다. 강가에서 사금을 채취해본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금 ... 생각만 해도 가슴이 설레는 이야기다. 이 꿈같은 이야기가 현실 속에서 이루어지려면
우선
사금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선행돼야 할 것이다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실제로 보여 줄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체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뚜렷한 목표가 설정돼야 한다. 예를 들면 서울과 신공항 영종도 사이(72km)의 수송수단은 자기부상열차로 한다든가, 사상과 김해간(11.2km)을 자기부상으로 연결한다든가, 아니면 어느 지역의 전철은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어족자원 에너지자원 광물자원과 같은 눈에 띄는 자원의 경우에는 힘의 논리에 의해 그
우선
순위가 정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러나 아주 작은 크기의 해양생물들은 그 용도가 무궁무진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임자가 따로 없다. 부단한 연구를 통해 유용한 해양생물을 찾아내 잘 ... ...
(1)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한글카드 구입시의 체크포인트 3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우선
한글카드가 한글 바이오스에 잘 맞는가를 살펴봐야 한다. 이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직접 실행시켜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둘째 VGA 한글카드를 구입할 경우 해상도와 컬러, 그리고 비디오 램의 용량을 반드시 ... ...
청소년상담 통신망 등대BBS 운영하는 현직교사 서영창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것이 가슴아팠다. "건전한 통신문화가 정칙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에게 상대방을
우선
적으로 생각하는 통신예절부터 가르쳐야 되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됐다고한다.등대BBS를 열게 된 또 하나의 동기는 학교에서 학생주임으로써 문제학생들을 자주 상담하면서 느낀 점 때문이다. 직접 얼굴을 마주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제대로된 시조를 읊조릴 수 있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제2출발'을 다짐하게 된 것이다.
우선
이름을 동호회에서 연구회로 바꾸고 회원 각자의 성과물을 어떤 형태로든 정리하기로 했다. 그동안 "아직 배우는 중인데 어떻게 책을..." "아마추어가 즐기면 됐지 무슨 교육을..."하는 사고방식이 모임의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일곱자리까지 가는 %에 불과). 그렇지만 오존의 역할은 우리가 상상 하는 것 이상이다.
우선
대류권(약 15㎞ 상공 이내)에 전체 오존량의 10% 가 존재한다. 지표면에 가까운 대류권의 오존량은 적을수록 좋다. 그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에, 특히 호흡기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