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대신 원자와 원자간에 미치는 힘을 조절하기 때문에 세라믹과 같은 물체뿐만 아니라,
세포
와 같이 부드러운 물체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때문에 AFM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전자’가 ‘원자’에 밀려난 이유하지만 SPM이 전자현미경보다 해상도가 높고 영상을 얻는 방법이 다르다는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따라 심장출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또 땀이 수분섭취량를 넘어 유출될 때는
세포
질 안과 밖의 수분량이 감소하며, 체온은 상승하고 지구력은 감소한다.탈수상태를 경고하는 신체적 대응반응이 바로 갈증이다. 보통 체내 수분이 체중의 1% 가량 손실됐을 때 갈증현상이 나타난다. ... ...
④ 세계 과학자 공유하는 생명의 데이터베이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나오는 정보를 분석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찾거나 특정
세포
현상을 분석하는 프로그램들도 현재 개발되고 있다.한편 셀레라 지노믹스사를 설립한 크레이그 벤터가 주도하는 TIGR에 의해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의 완전한 유전체 염기배열이 1995년에 발표됐다. TIGR은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방식이다.그러나 이 방법은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뿐더러 여러가지 제약이 있었다.
세포
내에서 원하는 단백질만 순수하게 분리해내는 과정이 무척 까다롭고, 원하는 크기만큼 결정을 키우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헤모글로빈이나 인슐린 같은 고분자 단백질의 3차원 입체구조를 밝혀내면 ... ...
기생충이 암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선충이 위암을 발생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당시에는 이 외에도 암의 원인으로 배
세포
설, 자극설, 발암물질에 의한 발생설 등이 발표된 상태였고, 특정한 화학물질이 암을 일으킨다는 내용은 그 후에도 여러 연구자에 의해 확인됐다.1926년의 노벨상 후보로는 피비거 외에 발암물질에 의한 암 발생을 ... ...
다이아몬드보다 물을 소중히 여기는 환경공학자 박종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했다. 박사학위 논문을 위한 연구를 할 때는 연날리는 모습을 보고 반응기 속에 식물
세포
를 담고 있는 플라스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떠올려 큰 고비를 넘긴 적도 있다.이에 대해 박교수는 “번득이는 아이디어가 아무렇게나 나오는 것은 아니예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어야 해요. 아무 ... ...
성체줄기
세포
얻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최근 윤리적 논쟁의 여지 없이 줄기
세포
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발견됐다. 캐나다 맥길대의 프레다 밀러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 리차드 폴섬은“이번에 추출한 줄기
세포
가 생체 내에서 실제로 기능을 갖는 신경
세포
로 분화하는지 확인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
미국 인간 배아줄기
세포
지원 의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도록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생명윤리기본법은 머레이 박사의 주장처럼 배아줄기
세포
연구를 정부의 감시권 안에 둘 기본적인 수단이라는 점을 시민단체와 과학자, 그리고 정부와 국회가 절실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흔히 남성이 여성보다 강하다고 말한다. 그런데 정말 이 말이 사실일까.최근 인간게놈프로젝트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여성이 남성보다 강하다는 ... X는 어머니로부터 물려받는 것이다(Y를 아버지로부터 받기 때문이다). 여성은 남성의 생식
세포
에까지 신경을 써주고 있다는 얘기다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
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머지않아 미생물뿐 아니라 인체
세포
에 대한 가상
세포
도 가능해 질 것이다. 그러면 암
세포
뿐 아니라 태아의 발생과정도 컴퓨터에서 연구할 수있다.이제는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시험관이나 배양접시를 손에 들고 물을 묻히는(wet) 대신 컴퓨터에서(in silico) 모든 실험을 할 날도 멀지 않았다.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